tag: 개발 잡동사니

나도 공부하고 싶다 node.js

2013년 1월 9일

Javascript는 v8 엔진이 나온 이후로 전방위로 세를 늘려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서버측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남다른 위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전 시대에는 그저 DHTML을 구현하는, 무거워서 쓰지 않는 것을 권장했었는데 이렇게 될 줄 누가 알았겠는가. 별거 아닌 것처럼 보여도 폭넓게 관심을 두는 것이 이래서 중요한듯 싶다.

특히 node.js는 서버측에서 사용할 수 있는 js로 프론트엔드 개발자도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는 식의 선정적인 이름으로 많이 알려지고 있다. 아직 판올림마다 레퍼런스가 대거 변경되는 등 안정적이지 않은 모습이지만 오픈소스는 안정성을 고려하는 것 보다야 꾸준하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는 건강한 생태계가 있느냐가 더 큰 문제고 아무래도 그런 점에서는 걱정 안해도 될만큼 멋진 사람들이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아직 내게 이 도구를 적용할만한 프로젝트나 장난감이 없어서 세세하게 사용해보진 못했지만 튜토리얼을 진행해본 경험으로는 독특하고 작고 빠르며 재미있었다. 빠른 프로토타이핑이 필요할 때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듯 싶다.

20130110 084910

트레인 안에 타닥타닥 소리가 나서 봤더니…

이 글은 출근하며 노트북으로 열심히 node.js를 공부하고 계시는 분이 보여서 적어봤다. RESTful 서비스를 node.js와 mongoDB로 구축하는 튜토리얼이었는데 고민하며 따라하는 모습이 나도 부지런히 저렇게 공부해야 하는데 생각이 들었다. 아침부터 적절한 자극을 주신 저 개발자 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퍼가요 문화

2013년 1월 4일

한국의 포털 문화는 퍼가요로 양산된 수많은 복제 문서와 삶을 같이 해왔다. 대표적으로 싸이월드의 스크랩과 네이버 블로그의 스크랩. 원본과 하등 다를 것 없는 컨텐츠를 스크랩이라는 머릿말만 덜렁 붙여 같은 컨텐츠를 게시할 수 있게 만들었다. 네이트는 이런 퍼가요 문화에 편승해 네이트 통이란 펌질 전용 서비스도 제공한 적도 있었다.

퍼가요는 저작권 문제, 작성자의 판단 등에 따라 삭제되거나 변동될 수 있는 정보를 본인의 저장소에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터넷이란 공간에 보관되는 자료들은 상당히 유동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언제 이 자료가 소실될지 아무도 모르고 스크랩과 같은 정보 저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원본 자료의 소실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일종의 캐시로서 복제된 자료가 필요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문제는 최신의 문서가 유지될 수 없다는 점이다. 이슈가 될 때 양산된 스크랩 문서들은 이후 원본 문서의 최신화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사실 낡은 문서로 효용이 하락하게 된다. 더 나아가 원본 문서의 오류가 입증되어 문서로서의 가치를 잃게 되어 삭제되었음에도 스크랩으로 생겨난 복제 문서는 그대로 유지되는 최악의 경우도 예상할 수 있으며 실제로도 많이 나타나는 문제다.

가장 큰 문제는 저작권이다. 사실 인터넷 상에 게시되는 모든 글은 손쉽게 무단으로 복제 및 전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작성자에 대한 저작권을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각 서비스에서는 뒤늦게 저작권과 관련해 퍼가지 못하도록 기능을 추가했지만 이미 퍼가요 문화에 학습된 사람들은 퍼가지 못하게 한 블로거를 이기적이라 비난하는 경우까지 보게된다. 그런 게시글을 퍼가는 도구까지 양산되는 실정이다. 무분별하게 스크랩된 자료들은 저작권 문제에도 자유롭지 못하다.

또한 무분별한 스크랩을 통해 쌓아둔 자료를 다시 보는 경우가 많은가 검색엔진으로 다시 검색하는 경우가 많을까. 스크랩은 스스로 색인을 잘 만들어 검색하기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을 하지 않는 이상 검색엔진에서 검색하는 것보다 덜떨어진 자료 덩어리만 만들어낼 뿐이다. 네이버와 구글을 비교해 보았을 때 구글이 우위를 점하는 것은 구글의 좋은 알고리즘도 분명 이유가 있지만 네이버 스스로 만들어 낸 스크랩의 늪도 적지 않은 영향이 있다.

이런 문제가 발생한 시기는 포털에서 블로그를 서비스 하기 시작했을 때부터로 보인다. 블로그의 주된 기능 중 하나인 트랙백은 원글과 그에 따라 파생된 게시물을 블로그 서비스 플랫폼을 막론하고 연결할 수 있게 만든다. 원본을 링크하는 것 이상으로 각 블로거 간의 의견을 개진하는 등의 기능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몇 포털에서 서비스하는 블로그는 포털 유입을 위한 정책이었는지, 무분별한 광고를 막기 위한 정책이었는지 몰라도 트랙백이 제대로 노출되지 않았고 거기에 스크랩이란 기능을 통해 트랙백을 의미없게 만들고 말았다. 하루에도 엄청난 양의 블로그 포스트가 발생하고 있지만 트랙백이 걸려있는 게시글보다 스크랩이란 제목이 붙은 글이 훨씬 많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을 오로지 포털의 문제로만 생각하기엔 좀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사실 블로고스피어가 태동하던 시기에는 대다수가 스스로 인터넷 공간을 임대해 사용했다. 즉 운영 자체에 비용이 발생하였고 그에 따라 용량에 의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정말 필요한 포스트만 게시했었다. 반면 한국의 경우 대형 포털에서 무료로 서비스를 시작함으로(사실은 블로거가 작성한 포스트에 대한 검색 독점이 블로그를 무료로 사용하는 대가지만) 블로그가 비용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아무도 생각하지 않게 되었다. 포털 입장에서도 트랙백보다 스크랩으로 포스트를 늘리는 것이 포털이 보유한 자료도 늘리는 결과가 있으니 포털 입장에서는 어디서든 스크랩해서 컨텐츠만 늘려주면 되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미 오염이 되어버린 블로고스피어를 어떻게 정화해야 할까. 퍼가요 문화가 팽배해 있는 상황에, 게다가 포털에서 아주아주 편리한 스크랩을 지원하는 상황에서 쓰지 맙시다라고 말하면 러다이트 운동 얘기 들을까봐… 내 경우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제안한다.

  • 본인의 블로그에 게시할 때 해당 원문의 내용을 요약하거나 왜 이 글이 중요한지 어떤 점이 유익한지 등을 간략하게 작성 후 원글에 트랙백을 넣자.
  • 블로그의 스크랩을 사용하는 경우 본인만 볼 수 있도록 권한을 지정해 스크랩하자.
  • 다른 사람과의 공유가 필요한 경우 해당 포털의 카페를 만들어 외부 검색이 되지 않도록 스크랩하자.

인터넷은 나 혼자만의 공간이 아니라 모두가 함께 사용하는 공간이란 점을 잊지 말고 클릭 두번으로 만들어내는 스크랩은 사실 공해라는 것을 염두한다면 좀더 깔끔한 블로고스피어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오피스 2007에서 무료로 PDF 저장하기

2012년 9월 23일

PDF로 저장하려면 Adobe Acrobat이나 기타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데 많은 기능을 지원하는 만큼 상용인 경우가 많다. 오피스 2007가 있다면 다음의 확장을 설치해 무료로 PDF를 출력할 수 있다.

Microsoft Office 2007에서 지원하는 추가 기능을 설치하면 Save as에 PDF로 저장하는 기능이 추가된다. 추가 기능은 Microsoft 다운로드센터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달라졌으면 하는, 한국 개발자의 몸값

2012년 8월 22일

제목이 엄청나게 거창하지만 먼저 이 글은 개발자 만나기 – 좋은 개발자와 만나는 방법 감상문 정도의 생각으로 작성하였다.

기획자가 좋은 개발자를 만나기 위해서는 어떠한 요건들이 필요한지, 어떠한 접근 방식이 필요한지에 대해 요연하게 잘 정리한 글이다. 글을 읽으면서도 공감도 많이 되었지만 한국에서의 개발자 커리어 패스, 그리고 타 개발자에 대한 평가 등 한국서 일하면서 ‘문제’라고 느꼈던 부분들에 대해 당연하게 여기는 배경이 글 곳곳에 느껴졌고 내 나름 정리 차원에서 적어보려고 한다.

(원래 글 전반에 대해 생각했던 부분을 적으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금액과 관련된 부분이 길어져 그냥 나머지 얘기는 다음 글에 쓰려고 한다;)

 

내 경력이 그렇게 길지 않음에도 기업이나 스타트업 등에서 러브콜을 (그냥 와서 일하란 얘기긴 하지만) 몇차례 받았다. 물론 그렇게 만난 분들은 명확한 기획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당연히 극소수였고 실질적으로 아이디어 수준에 그치는 기획이 대다수였다. 이들 대다수가 ‘그 기획’이 짜임새 있고 성공의 공식과도 같은 것으로 여기고 있으며 개발, 구현이 부수적인 수준으로 생각한다.

이런 분들을 만나면 늘 듣는 얘기가 몇백만원 혹은 몇천만원만 투자하면 수십배의 수익을 단기간에 달성한다는, 실로 무시무시한 가정을 상당히 쉽게 한다는 점이다. 게다가 명확하지 않은 기획에 대해 비용과 개발 기간을 산정하고 그 틀에 맞추어 손익을 계산하기에 바쁘다.

대기업 SI 업체 뿐만 아니라 중소급 기업이라 하더라도  이와 같은 기획을 마주하지 않는 이유는 당연하다. 명확하지 않은 기획에 짧은 기간은 둘째 문제치고(국내 SI는 짧아도 기간 맞출듯 싶다) 투자 비용이 너무나도 적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당연히 자신의 상황에 맞는 소단위 개발자를 수소문 할 수 밖에 없다.

반면 소단위 개발자 입장에서는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해야만 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단지 아이디어만 있는 기획임에도 저비용, 짧은 개발 기간도 수용하고 개발하는 경우가 있다. 개발자가 해당 프로젝트에 대해 미래지향적으로 필요한 부분도 추가해주는 등 적극적으로 기획에 참여하게 된다면 다행이지만 저비용, 단기간 개발에서는 기대하기 힘들다. 자신의 기획 시간과 금액을 관철하지 못하면 소신있게 물러나는 개발자만 있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어쩔 수 없는 이유(경제적 사정이나 경제적 사정..)으로 인해 예산이 적고 단기간 임에도 수락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지속적인 의견 공유와 장기간의 회의 끝에 나오는 것이 아니라 기획만 듣고서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문제가 필연적으로 나타난다. 먼저 기획의 입장에서는 허술한 부분이 많지만 본인은 완벽한 기획이라 생각하고 있으며 개발의 입장에서 단편적인 내용만 듣고 구현할 부분이 어디까지인지 판단해야 하는 문제다. 같은 자리에서 회의를 하면서도 정확한 기획이 없기 때문에 동상이몽일 수 밖에 없다.

이외에도 여러가지 복잡한 그들의 사정(경제문제라든가, 그 기획 단계에서 비전을 보았다던가..)을 거쳐 타협선의 금액이 결정되어 프로젝트는 진행되거나 각자 다른 사람 찾아 떠난다거나 뭐 그렇게 된다. 무슨 얘기가 하고 싶은거냐면,

타 개발자가 진행한 프로젝트와 그 비용에 대해 왈가왈부 하지 말자는 것이다.

자신이 기획을 듣고 진행해보지 않은 이상 그 프로젝트를 비싼 돈주고 수행했다는 얘기는 물론 가십거리로 충분히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로 인해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한 모든 과정이 저평가되게 된다. 개발자가 개발 한다고 한다고 하면서 개발 안했을 경우도 있을테고 말로 하는데는 쉬운데 구현단계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기획일 수도 있다. 그런 여러가지 상황 끝에 종료된 프로젝트가 많은 비용과 훨씬 긴 시간을 투여했다고 왈가왈부함으로 개발시장 전체의 평가절하를 야기하게 된다. 갑자기 시장 이야기까지 나오니 비약 같지만 이게 사실이다.

시장은 수요만으로 형성 되는 것도, 공급만으로 형성 되는 것도 아니다. 수요도, 공급도 시장을 서로 견인하고자 하는 성향에 따라 시장가격이 설정된다. 수요공급커브를 이 포스트에 첨부하지 않아도 상식적으로 수요는 투자가 적을수록 좋고 공급은 투자가 많을수록 좋은건데 솔직히 한국에서의 분위기를 들어보면 공급도 시간, 금액 투자가 적은걸 ‘합리적인’ 양 얘기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얘기가 산으로 자꾸 가는데 급여 수준이나 작업 환경이 좋지 않은 것은 개발자들이 가져온 현재까지의 문화가 준 영향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포스트한다..; (본문에서는 사실인 양 적었지만;) 이게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라면 차라리 다행이라 생각한다. 앞으로 조심하면 되니까. 더 길게 쓸 생각이었는데 너무 길어져서… 사심 가득한 포스트라 그런지 쉽게 길어졌다. 일단은 다음글(?)로 넘기는 걸로 여기서 마무리한다. 결론은 아래와 같다.

한국의 개발자여, 몸값은 우리가 올리는겁니다 ‘ㅅ’

 

맥을 위한, Windows Live Writer의 대안을 찾아 떠나는 여행

2012년 7월 30일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mac에서 Windows Live Writer 만큼 강력하고 편리한 블로깅 도구를 찾을 수가 없었다. 그나마 대안으로 찾은 도구가 ecto와 MarsEdit인데 ecto는 왠지 모를 불편한 부분이 있어 이전에 몇번 써보다가 그냥 지워버렸다. 그래서 한동안 로컬에 WordPress 설치 해두고 거기에 일기 쓰고, 이것저것 글 쓰고 그랬는데 이러다 내 맥북을 분실하게 되면 깡그리 사라지는데? 라는 생각이 들어 다시 이쪽으로 옮겨 담으려고 하고 있다.

유능한 목공은 연장탓을 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나는 유능하지 않으므로(…) 글쓰기 위해서는 왠지 블로그 스킨도 고쳐야 하고, 글쓰는데 환경을 꾸미는 것에 더 치중하는 스타일, 전형적인 연장탓하는 스타일이다. 그래도 그 사이에 뭔가 멋진 녀석이 나오지 않았을까 검색해봤는데 역시나 돈이 안되는 구석이라 그런지 여전히 MarsEdit이랑 ecto만 우선 순위로 검색이 되고 있었다. MacJornal을 추천하는 글도 많았지만 글이 많아지면 느려지는 부분이나 블로그로 싱크하거나 이런 부분이 문제가 되지 않을까 생각도 들고… 일단 모두 유료이기 때문에 한번 사면 쭉 써야하므로 계속 리뷰만 찾아보게 되는게 현실이다.

Mars Edit

느린 인터넷 사정으로 리뷰도 잘 검색이 안되서 오늘 출근해서 한번 검색해봤더니 MarsEdit도 30 day trial이 있길래 바로 설치해봤는데 결국 MarsEdit을 구입할 것 같다.  ;ㅅ; 너무 괜찮네.

설치한지 30분도 안되었는데 반해버리고 말았다.

  • 블로그 주소만 치면 알아서 인식해주고 계정만 입력하면 연결작업은 끝난다.
  • preview template을 html로 편집할 수 있게 되어있다.
  • drag & drop으로 사진 업로드가 된다.
  • 블로그 연결해도 깔끔하다.
  • 아 좋다.

Windows Live Writer는 리본 인터페이스로 변한 이후로 좀 어색한 감이 있었다. 기능도 너무 많고 역시나 찾기 힘든게 문제였는데 애플에서 그런 강력한 녀석 하나 내주진 않겠지?

그나저나 Sublime Text 2라는 녀석도 구입할 예정인데 이 달에 앱에만 100불 가량 지출 될 예정이다. 가장 화나는건 Coda를 답답한 면이 많음에도 아껴주고 칭찬해주고 지내왔는데 이렇게 더 매력적인 도구가 나타날줄은… Coda 구입한걸 후회하고 있을 정도다. Coda도 꽤 큰 돈 내서 산건데. 참. Sublime Text2도 어느 정도 적응이 되면 리뷰 올리고 싶을 만큼 강력한 녀석이다. 파이썬 기반인데 반응도 빠르고 요즘 브라우저와 유사한 탭방식에다가.. 여튼 이 글은 나중에.

MarsEdit 참 좋다. Trial은 앱스토어에서 받을 수 없고 해당 개발사 사이트에서 받을 수 있다.

잘가세요, 스티브 잡스!

2011년 10월 12일

hero

미국시간으로 2011년 10월 5일 저녁, 애플社의 전 CEO 스티브 잡스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가히 지구적 규모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전역에서 추모가 있었습니다. 시대의 아이콘이라는 표현이 농담이 아닌 실존하는 존재였으며 사익을 추구하는 기업의 수장임에도 모두에게 존경과 애도 속에 세상을 떠나간 것은 정말로 멋진 일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부를 사회에 환원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공룡 기업도 많지만 그들이 깨끗하다는 인상은 전혀 심어주지 못하는 반면 애플이 외적으로 보여주는 부분은 단지 그들의 프로덕트 외에는 없음에도 세상을 변화시키는 기업으로의 긍정적인 포지션으로 인식된다는 것은 대단합니다. 그의 긍정성과 진정성은 앞으로도 수많은 사람들의 귀감으로 남을 것입니다.

수고하셨어요. 잘가세요, 스티브 잡스!

I’m convinced that the only thing that kept me going was that I loved what I did. You’ve got to find what you love. And that is as true for your work as it is for your lovers.

– Steve Jobs

 

내가 계속할 수 있었던 유일한 이유는 내가 하는 일을 사랑했기 때문이라 확신합니다. 여러분도 사랑하는 일을 찾으셔야 합니다.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을 찾아야 하듯 일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 스티브잡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