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을 과하게 쓰다보니 몇번 완충완방이 되었었는데 베터리 수명에 그렇게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최근에야 알았다. 사무실에도 충전 케이블을 하나 비치해두기 시작해서 평일엔 그래도 괜찮은 편이지만 주말엔 정말 금방 베터리가 달아버려 불편했었다. 그러던 중에 Xaomi Power Bank가 평이 좋아 Aliexpress를 통해 하나 구입하게 되었다.1
일주일 동안 출퇴근에만 썼는데 500컷 가량을 찍었고, 그리고서 남기는 Ricoh GR 간단 사용기.
이렇게 생긴 Ricoh GR
출시한지 좀 지난 카메라라서 세세하게 스펙을 나열하긴 그렇고 DP Reivew 링크로 대체.
Ricoh GR의 명성은 한참 오래전부터 들어왔는데 드디어 영입했다. (왜 여태껏 주변에서 사용하는 사람이 없던건가. 왜 다들 S사 똑딱이를 사는건가!) 사실 GR 구입하기 전에 X100s와 GR 사이에서 엄청 고민했는데 (특히 뷰파인더 때문에) 6D의 서브로 X100s는 오버스펙일 것 같아서 GR로 결정했다. (가격도 그렇고. 그래 가격이 문제였지.)
(덤으로 풀 프레임 카메라인 Canon EOS 6D랑 비교하면 너무 하드코어하긴 하지만, 주력이 6D인 관계로 6D와의 짤막 비교.)
정확히 말하면 Ricoh GR Digital 5번째 버전이니까 Ricoh GRD5가 되야 하는데 브랜드 전략이 바뀌었는지 5번째 버전이 그냥 Ricoh GR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포스트 프로덕션이 가능하기 때문에 색상을 이야기하는 것은 좀 적합하지 않게 느껴지지만 기본적으로 색상이 좀 다르다. 쨍하고 현실감 있는 색상이라기보다는 좀 더 필름 룩에 가까운 색을 보인다. 결과물을 보면 필름 스캔 결과물을 보는 기분이 든다. 모노크롬도 상당히 좋다.
APC-S 크기의 센서를 탑재하고 있어서 광량이나 Depth of field에서 확실히 이득이 있다.
광각이지만 어디서든 쓰기 좋은 환산 화각 28mm. 비네팅 없이 깔끔. 그리고 선예도가 정말 좋아서 사진의 섬세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는다. 이거 뭔가 광고 카피 느낌이지만 정말 그렇 다.
나는 노이즈를 신경쓰지 않는 쪽이라서 f/8, 1/400 맞춰두고 ISO 25600 까지 오르락 내리락 하게 두는 편이다. 컴팩트 카메라지만 야간에도 쓸 수 있다는건 대단한 성능이다. (같은 세팅으로 6D로 찍는 것보다는 센서 크기 때문인지 어둡다. 당연히 조리개를 좀 더 열면 밤에도 빠르게 찍을 수 있다. P모드로는 그냥 낮처럼 잘 찍힌다.)
컴팩트 카메라인데 모든 수동 기능이 가능하고 측면에 하나, 후면에 둘 총 세개의 커스텀 가능한 버튼이 있다. 내 경우에는 Snap/AF 전환, Snap Distance, 측면은 ISO로 지정하고 사용하고 있다. 다이얼에 자신의 세팅을 3개까지 저장할 수 있는데 무려 이 커스텀 버튼 설정까지 저장이 됨. 생각해보면 컴팩트지만 기능이 워낙 많아서 메뉴 찾기 힘든 경향이 있다. 커스텀 버튼을 만든 이유가 아닐까.
Snap Focus 기능. 특정 거리로 포커스를 고정해주는데 스트릿 촬영에 상당히 유용. AF에 약한 기기들은 이 기능을 본받았음 좋겠다. 언제든 포커싱 하느라 고생하는 일이 없다. 스냅 찍기엔 최고의 기능. (6D도 사용자 기능에서 half-press에 포커스를 꺼버리고 pre-focusing 상태로 사용하고 있다. 40mm 팬케익은 거리 표시가 없어서 불편하긴 하지만… 이건 다음에 얘기하기로 하고.)
이건 단점인데 뷰파인더가 없다. 다음엔 꼭 외계인과 거래를 해서 RF를 내장했음 좋겠다.
그래서 핫슈에 끼워서 쓰는 OVF가 있는데 고민하다가 구입했다. (Ricoh GV-1) 체감으로는 한 80cm 이내는 뷰파인더에서 보는 거랑 다르게 찍히는데 EVF가 아니니 어쩔 수 없고, 다행히 그 이상 거리에서는 별 차이 없이 찍힌다. SLR로 찍으면 미러 때문에 사실 촬영하는 순간의 모습을 볼 수가 없는데 OVF는 항상 보이니까 그게 장점. (뜬금없이 6D를 정 리하고 X100s로 갈까 생각할 정도.) 다만 OVF의 가격이 깡패다. (사실 OVF는 어느 브랜드나 죄다 깡패다. 너네 왜그러니.)
작은 크기도 어마어마한 장점 중 하나. 센서도 크고 광각인데 주머니 쏙 들어간다. 작은 크기지만 그립 크기는 적절해서 편하다. 손 끝에 닿는 부분이 좀 이질감이 들어서 테이프를 붙였다. 로고도 가리는 건 덤. (참고로 그립이 불편하면 thumb grip을 구입하는 것도 괜찮다고.)
영상. 그러고보니 이걸로 영상을 안찍어봤다. DPReview에서 영상 점수가 엄청 낮은거 보니 안해봐도 될듯.
플래시 동조가 1/400 까지 가능. 저렴한 수동 스트로보 하나 있으면 야간에도 막 찍어댈 수 있다. 내 경우엔 OVF를 사용하기 때문에 핫슈를 쓸 수 없는데 그냥 광동조로도 잘된다.
참고로 적으면 내 스트로보는 Yongnuo에서 만든 YN-560-III인데 캐논의 스트로보랑 똑같이 생겼다. (물론 기능까지 같으면 좋겠지만 그럴리가 없지.) 한국어로 된 리뷰가 하나도 없지만 해외에서는 상당히 호평을 받는 스트로보. 장점은 아주 저렴한 가격, 빠른 리차지 속도. 물론 TTL 없고 고속동조 안된다. Yongnuo의 라인업은 참 풍성한데 기능 하나당 얼마씩 추가되는 수준이다. 그래도 최고 사양 모델이 캐논의 그 무지막지한 녀석보다 저렴. 물론 한국엔 Yongnuo보다 더 저렴하고 강력한 중소기업 제품들이 있다고 카더라.
덧붙이면 6D는 포컬레인 셔터이기 때문에 1/160초가 최대 속도라 그 이상의 셔터 스피드로 찍으면 검은 잔상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캐논은 고속동조를 지원하는 플래시를 써야하고 그만큼 돈을 써야 하지. 하하하. 그래서 이 부분은 GR의 승리.
총평
대박. 만족도 98%. 모양만 컴팩트, 기능은 중급기 이상.
다음 기 종은 FF에 RF 뷰파인더 달아서 내줬음 좋겠다. 그렇게 내면 우주정복 가능.
샘플은 아마 제대로 된 사용기를 작성하면 그때 쯤 넣게 될 것 같다. 6D는 제대로 된 리뷰할 생각조차 안한 이유가 기능이 없는게 자꾸 보여서 불평만 궁시렁 궁시렁 쓰게 될 것 같아서 못쓰고 있었는데…
2013년 2월 한국 다녀올 당시 레오폴드 키보드를 구입해서 왔다. 당시 회사에서 사용했던 이상한 키배열의 삼성 노트북 이후 키보드에 관심이 생겨서 관련 글을 읽다보니 기계식 키보드에 대해 좋은 인상을 받아 구입했다.
구입할 때 직접 타건해보고 구입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타건 영상을 보고 타이핑 소리를 가늠해야 했는데 다들 청축은 지나치게 시끄럽고 적축은 오타율이 높다는 얘기를 듣고 갈축을 선택했다. 다른 키보드 경험이 없어 딱히 비교하기 어려운데 간단하게 적어보자면 다음과 같다.
소리가 좋다. 그래서 가끔 사무실이 조용하면 사용하기 민망하다.
기계식 키보드라 그런지 키보드 자체가 무겁다. 덕분에 키보드가 밀리거나 하지 않는다.
키배열이 윈도 배열이라 맥 단축키가 불편할 때가 있다. (바인딩으로 해결 안되는 부분)
타이핑하는 양이 많아질 때 일반 키보드에 비해 손에 무리가 덜 간다.
키는 여전히 하얗지만 본체는 약간 노란 빛이 감돌기 시작했다.
처음엔 집에서 사용했는데 이제 사무실에 가져다놓고 가상머신에서 윈도우 작업할 때 주로 사용하고 있다. 사무실에서 사용할 때 맥 키 보드랑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키보드 바인딩 문제인데 F1~12의 펑션키를 맥 키보드의 기능처럼 쓰게되면 해당 function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거나 생각처럼 깔끔하게 바인딩이 되질 않아 어쩔 수 없이 혼용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키보드는 만족스럽지만 키보드 사용량이 그렇게 많지 않다면 크게 유의미하진 않은 것 같다. 만약 내가 vim이나 emacs를 잘 사용할 줄 안다면 더 재미있게 사용할 수 있지 않았을까. 코드든 글이든 타이핑을 많이 하는 사람이라면 사용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회사에서는 지난번 한국 다녀오면서 구입한 레오폴드 FC700 키보드와 애플 블루투스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정작 집에서는 별도 키보드 없이 에어를 계속 사용해왔다. 올해 들어서 어깨 결림이 조금 심해지길래 가만 고민해봤더니 집에서 너무 구부정한 자세로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지 않았나 생각이 들어 사무실에서 블루투스 키보드를 들고다니며 사용해봤더니 조금 개선이 되는 기분이 들었다.
그래서 애플 블루투스 키보드를 구입할까 했는데 가격도 있고, 아이패드나 아이폰에서 자유롭게 써보고 싶다는 생각에 알아보다가 로지텍 무선 키보드 리뷰를 보게 되었다. 인터넷으로 판매하는 곳을 한참 찾다가 생각보다 많이 비싸 구입하지 못했었는데 요번 문구류 사러 OfficeWorks 갔다가 생각보다 저렴하게 팔고 있길래 구입해왔다.
좋더라
솔라 패널로 따로 충전할 필요가 없음. (실내 조명으로도 충분하다고)
휴대하기에 살짝 큰 느낌은 들지만 얇아서 괜찮은 편.
블루투스 기기를 3대까지 저장해두고 빠르게 전환 가능. (F1 ~ F3)
맥용 키보드 레이아웃.
거슬리더라
애플 키보드에서 F1 ~ F3 단축키를 자주 사용한다면 불편. 내 경우엔 F3을 정말 많이 쓰는 편이라서 빈번하게 눌려 페어링이 풀린다.
애플 블루투스 키보드보다 키 소리 좀 더 큰 편. 키감이 가벼워서 그런지 몰라도 소리가 좀 남.
기존 블루투스 키보드와 거의 일치하는 크기라서 따로 적응한다고 시간을 쓰지 않아 좋았다. F1~f3을 별도키로 구성했으면 좀 더 편하게 쓸 수 있을듯 싶다. 기기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로지텍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어릴 때부터 사진에 대한 관심이 많았지만 카메라는 커녕 필름이 비싸서, 정말 특별한 날에 일회용 카메라로 만나는 사진이 전부였다. (그것도 너무나도 행복했는데.) 덕분에 카메라 이론 서적들을 오랜 기간 카메라 없이 탐독해 왔는데 디지털 시대로 넘어가면서 여러 디지털 카메라와 마주 할 수 있었다. Kodak LS420을 시작으로 쿨이오라는 애칭으로 유명한 Nikon Coolpix 2500, 밝은 렌즈와 코닥 특유의 색감이 돋보였던 Kodak DX6340, 고질적인 기판 문제가 있던 DX6340을 교환판매 받아 구입한 하이엔드 카메라 Kodak P880까지. 카메라와 함께 한 지난 시간을 돌아보면 디지털의 혜택을 정말 많이 누렸다는 생각이 든다.
코닥 카메라랑은 긴긴 인연이 있었는데 덕분에 코닥동인 코닥포유에서도 많은 활동도 했었다. 코닥에서 더이상 카메라를 생산하지 않게 되면서 여러가지 안타깝게 되었지만. 생각해보면 셀빅이나, 아이비, 자우르스, 코닥 카메라까지 내가 깊게 손댄 것들은 어째 현대에 남아나질 않았다. 내가 마이너스의 손이라도 되는건가.
오랫동안 개인적으로 촬영해 왔지만 전문적인 시야는 군생활에서 생겼다. 공군 40710 전자광학정비 2특기를 받아 정훈계통에서 사진병으로 근무하면서 많이 배우게 되었고 더 많이 촬영해 볼 수 있던 좋은 기간이었다. 군생활동안 5D mark2와 D300를 사용했었는데 전역 후에 DSLR을 구입해야지 계속 생각만 하다가 절대 저렴하지 않는 비용에 계속 미뤄왔었다. 호주에 오면서도 사고 싶었지만 DSLR 대신 Olympus XZ-1를 구입했었다. 나름 요긴하게 사용해오긴 했지만 고민을 계속하다가 결국 상대적으로 저렴한(절대치는 여전히 비싸긴 한) 캐논 EOS 6D를 구입하게 되었다.
바디는 크게 고민하지 않았는데 대신 렌즈를 많이 고민했다. 24-70mm 같은 렌즈를 사용하기엔 크기도 가격도 부담이라서 단렌즈를 두개 구입해야겠다 생각하고 있었는데, 50mm 1.4를 구입할지 40mm 2.8 팬케익을 구입할지 한참 고민하다 결국 팬케익 렌즈를 구입, 그리고 80mm 1.8을 구입했다. 액정커버도 구입해서 붙였고 핸드스트랩도 불렀고(해링본이 국산 브랜드인줄 처음 알았다) 이제 카메라 가방만 사면 마음껏 출사를 나갈 수 있을듯 싶다.
안드로이드 어플로 사용할 수 있는 wifi 무선 릴리즈라든가, DSLR 같지 않은 가벼움이라든가 여러가지 만족중이다. 여태 촬영하지 못했던, 더 많은 것들 촬영할 수 있음 좋겠다.
지금은 병사도 정훈 특기가 신설되었고 40710은 전자계통으로 통합되어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 특기가 되었다.↩
넥서스4를 구입했다. 짤막하게나마 트윗으로 사용기를 남기고 있는데 정리하는 겸 포스트를 남겨본다.
호주에 오기 전에 한국에서는 옵티머스Q를 사용했지만 호주로 넘어오며 심 없는 LGT는 호주에서 아무 쓸모가 없었다. 대신 아버지가 사용하시던 아몰레드2를 가져와 구석기의 삶을 살고 있었다.
나는 사실 넥서스4 발매 바로 전날에야 이런 기기가 출시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다음날 출시 되자마자 바로 구입했다. 초도물량이 얼마가 되었는지 출시 직후 한시간 이내로 매진이 되어버렸는데 재빨리 구입을 할 수 있었다. 범퍼도 동시에 구입하려 했으나 구글 플레이 측에서 범퍼 판매는 조금 늦게 시작하는 바람에 나중에 파려나보다 하고 기기만 구입했다. 나중에 보니 동시에 구입하려고 범퍼가 나올때를 기다린 사람들도 있다고 하는데 범퍼가 나왔을 때는 이미 16GB가 매진되어버려 그에 관한 성토의 글이 꽤나 올라왔다. FedEx를 통해 배송이 되었으며 5일이 걸려 수령하게 되었다.
패키징은 사용설명서, USB 충전기, 충전 및 싱크 공용 USB 케이블, USIM 삽입용 핀, 그리고 기기 본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폰 정도는 기대했지만 저렴한 가격에 맞게 심플한 구성.
외부 디자인은 일반 스마트폰과 크게 다를 것 없어 보이는 평범하게 느껴진다. 스마트폰 디자인은 이제 소재가 달라지지 않는 이상 곡선 직사각형에서 달라지는 일이 없을 것 같기도.. 후면은 불규칙한 패턴으로 빛의 방향에 따라 블링블링(?)한다.
알려진 대로 Made in Korea. 초도물량만 이럴지 앞으로 생산품 모두 이럴지는 잘 모르겠다.
안드로이 드 젤리빈이 탑재되어 있으며 예전 버전 UI에 비해 깔끔해졌다. 스왑이나 여러 화면 전환 효과도 버벅임 없이 깔끔하다. 기본적으로 설치된 앱은 레퍼런스폰 답게 모두 구글에서 서비스하는 앱들로 가득 차 있다.
실제로 사용해보니 베터리는 무난한 편. 호주의 통신망 사정이 한국과는 판이하게 다르므로 내 경우가 적절하다고 보긴 힘든데 연속 사용으로는 3시간 반 가량, 출퇴근시만 사용하면 10시간 가량 사용할 수 있다. 그래프를 보면 대기상태로는 상당히 오래 지속되는 편이지만 실사용 하면 절벽을 뛰어내린다.
액정은 기대했던대로 상당히 선명한 편. 뉴아이패드와 비교해도 크게 다른 느낌이 없다. 하지만 액정의 전력 사용량이 상당한지 메모와 같이 큰 연산이 딱히 없는 구동에서도 발열이 상당한 편이다. 메모 하는데 손에 땀을 쥐게 하는; 베터리에서 앱별 사용량을 보더라도 액정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젤리빈에서부터 생긴 부분인지 모르겠지만 데이터 사용량을 운영체제에서 집계해주는 부분이 생겼다. 각 앱별로도 집계를 해주고 상한도 지정할 수 있어 상당히 편리했다.
가장 기대했던 부분은 카메라였다. 포토스피어는 현재 위치에서 스트리트뷰처럼 VR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으로 전방향으로 촬영한 후 스트리트뷰와 같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글플러스에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인식해 아름답게 보여준다. 아직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서는 그냥 이미지가 올라가지만 조만간 지원하지 않을까.
보랏빛 플레어 현상은 어떤 조건에서 나타나는지 모르겠다. 빛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해봤지만 딱히 나타나진 않았다.
촬영 결과물은 상당히 평범한 수준. 어짜피 휴대폰 카메라니까 크게 신 경 쓸 부분은 아니지만 아이폰 등의 결과물과 비교해보았을 때 계조나 여타 부분들이 떨어진다. 특히 조금이라도 급하게 촬영하면 초점이 잘 안맞는 편. 파노라마 기능도 있는데 파노라마로 촬영하는 것 보다 포토스피어로 파노라마처럼 촬영하는 것이 더 깔끔한 결과물을 보여준다. 영상은 HD 720p 촬영이 가능하며 소니 저가 핸디캠보다 나은 수준의 결과물을 보여준다.
자체 파노라마 기능은 상당히 퀄리티가 떨어지는 편. 포토스피어를 이용해서 파노라마처럼 찍으면 더 깔끔하다. 문제는 포토스피어가 무조건 지면 수평을 기준으로 시작한다는 점인데 좀더 다양한 위치에서 촬영을 시작할 수 있게 해줬으면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듯 한데…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충전기를 구입하지 않았으므로 테스트 해볼 수는 없었다. 내장된 NFC 리더를 통해 뭔가 특별하게 재미있는 것을 구현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봤는데… 지금 인식되는 카드들로는 뭔가 딱히 할만한 작업이 없어서 보류했다.
갤럭시나 타 기기를 써보질 않아 공정하게 비교하긴 어렵기도 하고 내가 속도에 민감하지 않은 사람이라 특히 잘 모르겠지만 다른 기기 사용해본 사람들이 넥서스4를 만져보며 확실히 속도가 빠른 편이라는 평을 줬다.
아무리 한국 시장이 lte망으로 재편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런 기기를 내지 않는다는건 좀 아쉬운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