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생활코딩에서 즉시실행 익명함수라는 표현을 보고 깜짝 놀랐다. 근래에 JavaScript로 몇번 개발을 해봤다면 예제를 보면 이게 무슨 의미인지 바로 이해할 수 있겠지만 "이건 아무래도 과하지 않은가" 라고 생각했다. 이렇게까지 거창한(?) 이름이 붙는 내용이었나 하고.

개발을 배우다보면 첫눈에 이해하기 힘든 한자 조어들이 꽤 있다. 함수, 변수와 같은 용어도 프로그래밍 강의 첫시간에 나와서 쉽게 쓰는거지 그 자체로 상당히 어려운 용어다. 객체 생성자, 논리 연산자 정도는 어떤 내용을 정의한 단어인지 쉽게 이해(내지는 유추) 할 수 있지만 대리자, 비동기와 같은 단어는 쉽게 내용을 생각해내기 어렵다. 용어의 정의는 모두가 동의할 수 있고 그 정의한 용어가 해당 용례에 대한 대표성을 띌 수 있어야 한다. 용어 함의적이라면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다.

물론 개발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대다수의 학문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과도하게 한자로 조어되는 경향이 있다. 한자문화권이기에 이해도 되고, 서양-일본-한국의 경로로 학문이 들어오는 경우도 적잖은 영향이 있을듯 하다. 배경은 뒤로 밀어두고서 단순히 직역해 한자로 옮겨 조어를 만드는게 올바른가에 대해 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영어권 환경에서 일을 하다보니 가장 크게 느끼는, 한국과 다른 점은 용어에 대한 설명이 거의 필요 없을 정도로 쉽게 이해한다는 점이다. 디자이너도, 세일즈도, CS담당자도 모두 개발용어를 거침없이 쉽게 사용한다. 영어권이니까. 그 개발용어 자체로도 별다른 설명없이 알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장점인지 모른다. 그런 언어적 이점에 명확한 설명을 선호하는 문화적 배경이 영어권 IT기업이 가지는 장점이라고 본다. (이와 관련해서는 적자면 내용이 더 많을 것 같아 여기까지)

단어만으로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개발언어 용어를 만들 순 없을까. 모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는 위에서 말한 것처럼 충분히 매력적이다. 한자어로 단어를 만들더라도 단순 사전식 직역 말고 보다 정서에 맞게 옮길 순 없을까. 앞서 언급한 즉시실행 익명함수를 예로 해보면, 함수란 원래 호출하면 바로 실행되는건데 즉시실행이란 표현도 좀 재미있는듯 하다. 익명함수는 어딘가에 선언 없이 바로 사용하는거니까, 임시함수 실행, 호출 정도가 되지 않을까. (하루종일 고민한 단어가 이 수준이라 아쉽긴 하지만;)


추가. 작성하고 나니 이전에 SICP 번역서가 생각났는데, 쉽게 풀어쓴 용어가 기존에 조금이라도 알고 있던 사람들에게는 요즘말로 멘붕을 야기했다는 후기. 차라리 한자로 쓴, 이전의 용어체계가 훨씬 이해하기 쉽다는 얘기였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는 매력이 있지만, 그런 용어의 정의는 역시 말처럼 쉽게 되지 않는다.

웹사이트 설정

웹페이지 색상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