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를 작성한지 시간이 꽤 지났고 더이상 부트캠프를 사용하고 있지 않아 질문을 하셔도 답변 드리기 어렵습니다. 이 모든 과정은 글에 있는 다른 블로그 포스트 링크와 구글 검색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부트캠프를 통해 Thunderbolt 외장 하드에 Windows 8을 설치한 과정을 기록한 포스트다. 관련 글이 많은데 windows에서의 작업 없이 설치한 경우의 글은 없는 것 같아 정리해봤다.
이 글은 상당히 불친절하다. 아래의 준비물과 순서를 보고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끝없는 인내심이 필요하다. 무슨 이야기인지 조금이라도 모르겠다 싶으면 이 글 말고 부트 캠프 없이 외장 하드로 맥에서 윈도우 설치/부팅하기 또는 맥북에어13(2013 하스웰) 부트캠프 윈도우8 설치 포스트를 참고하자.
동기
맥북에어 2012 모델인데 Windows는 딱히 필요 없을 것이란 생각에 128GB SSD로 구입했다. 그러던 중 닷넷 스터디로 인해 Windows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VMWare를 통해 Windows를 외부 하드에서 구동하니 실제 사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느렸다. 훨씬 빠른 속도의 thunderbolt를 이용한 외장하드를 쓴다면, 거기다 저장 매체를 SSD를 쓴다면 쾌적 하게 쓸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LaCie thunderbolt SSD 256GB를 구입해 Windows를 설치하게 되었다.
삽질의 주된 원인
가장 큰 문제는 Windows 설치 시 하드로 인식하느냐, usb로 인식하느냐의 차이가 있다. 부트캠프에서 windows를 usb에 옮겨 담아 실질적으로 windows의 설치 흐름을 따라서 진행하게 되는데 설치를 진행하다보면 파티션을 선택하는 부분에서 USB 또는 firewire로 연결된 장비에는 Windows를 설치할 수 없다는 메시지와 함께 더이상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Windows 콘솔 환경에서 diskpart
를 이용해 파티션을 설정해야 한다. 맥에서 포맷해봐야 해당 파티션을 윈도우 설치 시 제대로 포맷되지 않는다.
준비물
- 선더볼트 지원 외장하드 : 이 하드에 Windows를 설치 할 예정
- 4GB 이상의 USB 메모리 : 부트캠프를 통해 Windows 이미지를 메모리에 설치
- 설치할 Windows DVD 또는 ISO 파일 : 부트캠프에서 이미지를 설치할 때 사용
- Windows Command Prompt에 대한 얕은 이해 (도스 명령어 정도)
- 강인한 정신 등등
설치 과정
- 먼저 맥에서 Bootcamp Assistant를 실행해 windows 이미지를 usb 메모리에 담는다. usb 메모리의 내용은 초기화되므로 주의하고, 또 다른 외장 하드나 맥OS가 설치되어 있는 드라이브를 선택하지 않도록 신중하게 선택한다.
- 이미지를 usb에 담는 과정은 조금 지나면 끝난다. 완료되었으면 맥을 종료하고 다시 켤 때
option
키를 눌러 부트로더로 진입한다. - 부트로더로 진입하면 ELI 어쩌고 또는 Windows가 보이는데 뭐가 다른지 모르겠다. ELI로 진입한다.
- 그러면 Windows 로고가 나오면서 설치 화면 안내가 나온다. 설치를 바로 하는 것이 아니라 하단의 Repair 버튼을 눌러 command prompt로 진입해야 한다.
- 부트 캠프 없이 외장 하드로 맥에서 윈도우 설치/부팅하기 글의 4. 외장 하드 파티션 나누기 부분을 따라서 파티션 작업을 진행하는데 부팅용 파티션이라는 부분을 다음 순서를 위해 4GB 이상으로 설정한다.
- 새로 생성한 파티션 중 부팅용 파티션에 메모리에 들어있던 내용을 콘솔을 통해 전부 복사한다. (4GB가 넘음)
- 컴퓨터를 종료하고 USB 메모리를 뺀 후에 다시
option
키를 눌러 부트로더 진입, 윈도우 시동을 한다. - 외장 하드의 두번째 파티션에 Windows를 설치한다.
- 설치를 완료하고 재부팅해 윈도우에 들어가면 멀티부팅 설정이 되어 있는데 Setup이 아닌 Windows를 선택해 진입한다. 윈도우즈 7 멀티부팅 제거 방법 (8도 같은 방법으로 가능)
- Boot Camp Support Software를 내려받아 설치한다.
왜 외장 하드에 메모리 내용을 옮겨야 하나
메모리로 부팅하면 일종의 LiveCD와 같이 동작하는 상태인데 이런 경우 외장하드를 USB나 firewire로 연결한 기기라고 뜨거나 윈도우를 설치할 수 없는 상태라고 설치를 진행하지 못하게 막는다. 해당 하드에 설치 이미지를 복사하면 일반 하드로 인식해서 설치가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