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d Motto의 글 Mastering Angular dependency injection with @Inject, @Injectable, tokens and providers를 번역했다. Angular 내에서 의존성 처리를 위해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내부적인 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Angular의 의존성 주입 이해하기 – @Inject, @Injectable, 토큰과 프로바이더

Angular의 프로바이더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있어 핵심적이며 의존성을 주입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제공한다. 이 포스트는 @Inject()@Injectable() 데코레이터 뒤에서 일어나는 일을 살펴보고 사용하는 방법을 확인하려고 한다. 그런 후에 토큰과 프로바이더를 이해하고 Angular가 실제로 어떻게 의존성을 찾고 생성하는지 살펴본다. 또한 Ahead-of-Time 소스 코드도 설명할 것이다.

프로바이더 주입하기

Angular는 의존성 주입(DI)를 사용할 때 수많은 마법 같은 일이 일어난다. Angular 1.x에서는 문자열 토큰을 사용해서 세세한 의존성을 처리하는 간단한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 이 방법은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function SomeController($scope) {
  // $scope를 사용한다
}
SomeController.$inject = ['$scope'];

DI 어노테이션 처리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예전 포스트를 참고하자.

좋은 접근 방식이지만 한계점이 있었다.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는 다양한 모듈을 만드는 것이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필요에 따라서 기능 모듈이나 라이브러리처럼 외부 모듈을 불러오기도 한다. (예를 들면 ui-router) 다른 모듈이라 하더라도 컨트롤러/서비스 등 동일한 이름을 사용할 수 없고 만약 동일한 이름이 있다면 컴파일 차례에서 충돌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의존성이 같은 명칭을 갖고 있다면 서로를 덮어 쓰려고 하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한다.)

다행스럽게도 Angular의 새로운 의존성 주입은 완전히 새로 작성했으며 더 강력하고 유연한 방식으로 의존성 주입을 처리한다.

새로운 의존성 주입 방식

서비스(프로바이더)를 컴포넌트/서비스에 주입하려고 한다면 필요로 하는 프로바이더를 생성자에 _타입 정의_로 작성할 수 있다.

import { Component } from '@angular/core';
import { Http } from '@angular/http';

@Component({
  selector: 'example-component',
  template: '<div>I am a component</div>'
})
class ExampleComponent {
  constructor(private http: Http) {
    // `this.http` 로 Http 프로바이더에 접근 가능.
  }
}

여기서 사용한 타입 정의는 Http (H가 대문자)며 Angular는 자동으로 마법같이 이 서비스를 http에 배정했다.

여기까지만 봐도 상당히 마법같이 동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타입 정의는 타입스크립트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론적으로는 컴파일된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브라우저에서 실행되기 전까지는 http가 실제로 어떤 파라미터인지 알 방법이 없다.

tsconfig.json 파일을 살펴보면 emitDecoratorMetadata 값이 true로 설정되어 있다. 타입 파라미터를 컴파일된 자바스크립트 출력물에서 데코레이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를 같이 내보내게 된다.

실제로 컴파일된 코드는 어떤 식인지 살펴본다. (읽기 편하도록 ES6의 모듈 불러오는 코드는 그대로 두었다.)

import { Component } from '@angular/core';
import { Http } from '@angular/http';

var ExampleComponent = (function () {
  function ExampleComponent(http) {
    this.http = http;
  }
  return ExampleComponent;
}());
ExampleComponent = __decorate([
  Component({
    selector: 'example-component',
    template: '<div>I am a component</div>'
  }),
  __metadata('design:paramtypes', [Http])
], ExampleComponent);

컴파일된 코드를 보면 @angular/http로 제공된 Http 서비스가 http와 동일하다는 점을 이해하고 있다. 데코레이터로 클래스에 다음처럼 메타데이터를 추가하게 된다.

__metadata('design:paramtypes', [Http])

기본적으로 @Component 데코레이터는 일반 ES5로 변경되었고 추가적인 metadata가 제공되며 __decorate를 통해 배정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과정으로 Angular는 Http 토큰을 확인한 후 컴포넌트 constructor의 첫 인자로 전달하고 this.http에 배정하게 된다.

function ExampleComponent(http) {
  this.http = http;
}

이 동작 방식은 $inject의 방식과 비슷하다. 하지만 _문자열_로 처리되던 토큰이 클래스 형태로 다뤄진다는 점에서 다르다. 명명에 의한 충돌이 없고 더 강력하다.

아마도 “토큰”에 대한 컨셉을 들은 적이 있을 것이다. (또는 OpaqueToken) Angular는 이 접근 방법으로 프로바이더를 저장하고 사용한다. 사용하려는 프로바이더를 참조할 때 토큰을 열쇠로 사용하는 것이다. (위 코드에서는 불러온 Http가 프로바이더다.) 하지만 기존 키와는 다르게 개체, 클래스, 문자열 등 어떤 것이든 올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Inject()

@Inject()는 어디서 사용할 수 있을까? 컴포넌트를 앞서 작성한 방식과는 다르게 다음처럼 작성할 수 있다.

import { Component, Inject } from '@angular/core';
import { Http } from '@angular/http';

@Component({
  selector: 'example-component',
  template: '<div>I am a component</div>'
})
class ExampleComponent {
  constructor(@Inject(Http) private http) {
    // 여기서 `this.http`를 Http 프로바이더로 사용할 수 있음
  }
}

이 코드에서 @Inject는 해당 토큰을 직접 찾아 배정하는 방법이다. 소문자 http 인자 뒤에 타입을 작성하는 방법과는 반대로 말이다.

이 방식은 컴포넌트나 서비스가 많은 의존성을 필요로 할 때 엉망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엉망이 될 것이다.) Angular에서는 메타데이터를 추가해 의존성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는 @Inject가 필요하지 않다.

OpaqueToken를 사용하는 경우가 유일하게 @Inject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 경우에는 의존성 주입 프로바이더에서 접근하기 위해 비어 있는 고유 토큰으로 사용할 수 있다.

@Inject를 이 경우에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OpaqueToken을 파라미터의 _타입_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처럼 작성하게 되면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const myToken = new OpaqueToken('myValue');

@Component(...)
class ExampleComponent {
  constructor(private token: myToken) {}
}

myToken은 타입이 아닌 값이다. 즉, 이 경우에는 타입스크립트가 컴파일을 할 수 없다. 하지만 OpaqueToken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Inject는 다음처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onst myToken = new OpaqueToken('myValue');

@Component(...)
class ExampleComponent {
  constructor(@Inject(myToken) private token) {
    // `token` 프로바이더를 사용할 수 있음
  }
}

여기서 OpaqueToken을 더 깊이 다루지는 않는다. 하지만 주입할 토큰을 수동 처리할 때 필요한 @Inject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살펴봤다. 어떤 것이든 이제 토큰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타입스크립트에서 정의한 “타입”으로 제한하지 않고 사용한다는 뜻이다.

@Injectable()

@Injectable()은 컴포넌트나 서비스에 의존성 주입을 위해 필수적인 데코레이터라는 점은 흔하게 나타나는 잘못된 믿음이다. 실제로는 현재 이슈가 있어서 @Injectable()을 필수로 사용하는 것이지 이 사실은 아마도 변경될 예정이다. (이 변경은 상당히 최신이라 한동안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고 아예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다.)

Angular 데코레이터를 사용하면 꾸며진 클래스(decorated class)를 Angular가 읽을 수 있는 양식의 메타데이터로 보관하게 된다. 이 메타데이터에는 의존성을 어떻게 찾고 주입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다.

하지만 Angular 데코레이터를 사용하더라도 Angular가 어떤 방법으로도 필요한 의존성 정보를 찾을 수 없는 클래스가 있다고 생각해보자. 이런 경우에 @Injectable()을 사용해야 한다.

서비스에서 프로바이더를 주입한다면 반드시 @Injectable()을 사용해야 한다. 프로바이더는 추가적인 기능이 없기 때문에 Angular에 필요한 메타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도록 지정해야 한다.

즉, 서비스를 다음처럼 작성했다고 가정하자.

export class UserService {
  isAuthenticated(): boolean {
    return true;
  }
}

예로 든 컴포넌트는 어떤 프로바이더도 주입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데코레이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서비스가 의존성(Http)을 포함하고 있다면 다음처럼 작성하게 된다.

import { Http } from '@angular/http';

export class UserService {
  constructor(private http: Http) {}
  isAuthenticated(): Observable<boolean> {
    return this.http.get('/api/user').map((res) => res.json());
  }
}

이 코드는 Http 프로바이더의 메타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아서 Angular가 제대로 의존성을 해결하지 못할 것이다.

이런 문제는 간단히 @Injectable()로 풀 수 있다.

import { Injectable } from '@angular/core';
import { Http } from '@angular/http';

@Injectable()
export class UserService {
  constructor(private http: Http) {}
  isAuthenticated(): Observable<boolean> {
    return this.http.get('/api/user').map((res) => res.json());
  }
}

이제 Angular는 Http 토큰을 인식하고 http에 무엇을 주입해야 하는지 알게 되었다.

토큰과 의존성 주입

이제 어떻게 Angular가 주입하는지 알았으니 어떻게 의존성을 해결하고 인스턴스로 바꾸는지 배울 수 있다.

프로바이더 등록하기

NgModule 내에 어떻게 전형적인 서비스를 등록하는지 살펴보자.

import { NgModule } from '@angular/core';

import { AuthService } from './auth.service';

@NgModule({
  providers: [
    AuthService
  ]
})
class ExampleModule {}

위 코드는 짧은 문법으로 풀어서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import { NgModule } from '@angular/core';

import { AuthService } from './auth.service';

@NgModule({
  providers: [
    {
      provide: AuthService,
      useClass: AuthService
    }
  ]
})
class ExampleModule {}

개체 내 provide 프로퍼티는 등록할 프로바이더를 위한 토큰이다. Angular가 AuthService 토큰에 어떤 내용이 있는지 useClass 값을 사용해서 살펴본다는 뜻이다.

이 방식은 장점이 여러가지 있다. 먼저 동일한 class명인 프로바이더가 있더라도 Angular에서 올바른 서비스를 참조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둘째로 _토큰_이 동일하다면 기존에 존재하는 프로바이더를 다른 프로바이더로 덮어 쓸 수 있다는 점이다.

프로바이더 덮어쓰기

AuthService를 다음처럼 작성했다고 가정하자.

import { Injectable } from '@angular/core';
import { Http } from '@angular/http';

@Injectable()
export class AuthService {

  constructor(private http: Http) {}

  authenticateUser(username: string, password: string): Observable<boolean> {
    // returns true or false
    return this.http.post('/api/auth', { username, password });
  }

  getUsername(): Observable<string> {
    return this.http.post('/api/user');
  }

}

이 서비스를 애플리케이션 전체에 사용하고 있다고 상상해보자. 사용자가 로그인 하기 위한 양식도 만들었다.

import { Component } from '@angular/core';
import { AuthService } from './auth.service';

@Component({
  selector: 'auth-login',
  template: `
    <button (click)="login()">
      Login
    </button>
  `
})
export class LoginComponent {

  constructor(private authService: AuthService) {}

  login() {
    this.authService
      .authenticateUser('toddmotto', 'straightouttacompton')
      .subscribe((status: boolean) => {
        // 사용자가 로그인 후 해야 할 내용 작성
      });
  }

}

이제 사용자명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에서 가져와 사용할 수 있다.

@Component({
  selector: 'user-info',
  template: `
    <div>
      You are {% raw %}{{ username }}{% endraw %}!
    </div>
  `
})
class UserInfoComponent implements OnInit {

  username: string;

  constructor(private authService: AuthService) {}

  ngOnInit() {
    this.authService
      .getUsername()
      .subscribe((username: string) => this.username = username);
  }

}

이 내용을 AuthModule라는 이름 아래에 모듈로 묶을 수 있다.

import { NgModule } from '@angular/core';

import { AuthService } from './auth.service';

import { LoginComponent } from './login.component';
import { UserInfoComponent } from './user-info.component';

@NgModule({
  declarations: [
    LoginComponent,
    UserInfoComponent
  ],
  providers: [
    AuthService
  ]
})
export class AuthModule {}

각각의 컴포넌트를 다 뒤져서 새 프로바이더를 참조하도록 변경해야 한다. 토큰을 사용했다면 직접 다 수정하는 대신에 AuthService 토큰에 FacebookAuthService을 대신 사용하도록 얹는 것이 가능하다.

import { NgModule } from '@angular/core';

// totally made up
import { FacebookAuthService } from '@facebook/angular';

import { AuthService } from './auth.service';

import { LoginComponent } from './login.component';
import { UserInfoComponent } from './user-info.component';

@NgModule({
  declarations: [
    LoginComponent,
    UserInfoComponent
  ],
  providers: [
    {
      provide: AuthService,
      useClass: FacebookAuthService
    }
  ]
})
export class AuthModule {}

위 프로바이더 설정을 보면 단순히 useClass 프로퍼티에 다른 값으로 바꾼 것을 볼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AuthService를 사용하는 곳이라면 변경된 프로바이더가 적용된다.

이런 이유로 Angular에 프로바이더를 찾기 위한 용도에서 AuthService를 토큰으로 사용한다. 새로운 클래스인 FacebookAuthService로 교체한 대로 모든 컴포넌트는 이 클래스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인젝터(injector) 이해하기

여기까지 읽었다면 토큰과 Angular의 의존성 주입 시스템을 이해했을 것이다. 다음 장에서는 더 상세하게 이해하기 위해 Angular에서 컴파일된 AoT 코드 안을 들여다 보려고 한다.

사전 컴파일된 코드

컴파일된 코드를 살펴보기 전에 사전 컴파일된 버전의 코드를 보려고 한다. 사전 컴파일은 무엇일까? 그 코드는 Ahead-of-Time 컴파일 이전에 우리가 작성한 코드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작성한 모든 코드는 사전 컴파일에 해당하며 Angular는 JiT을 사용해 브라우저에서 컴파일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더 효과적인 접근 방식으로 오프라인에서 컴파일(AoT)을 수행할 수 있다.

이제 어플리케이션을 다 만들었다고 생각하고 아래 NgModule 코드를 확인해보자.

import { NgModule } from '@angular/core';
import { BrowserModule } from '@angular/platform-browser';
import { Routes, RouterModule } from '@angular/router';
import { HttpModule } from '@angular/http';

import { AppComponent } from './app.component';

export const ROUTER_CONFIG: Routes = [
  { path: '', loadChildren: './home/home.module#HomeModule' },
  { path: 'about', loadChildren: './about/about.module#AboutModule' },
  { path: 'contact', loadChildren: './contact/contact.module#ContactModule' }
];

@NgModule({
  imports: [
    BrowserModule,
    HttpModule,
    RouterModule.forRoot(ROUTER_CONFIG),
  ],
  bootstrap: [
    AppComponent
  ],
  declarations: [
    AppComponent
  ]
})
export class AppModule {}

이 코드는 상당히 익숙하다. 루트 컴포넌트와 다른 모듈로 연결하는 몇 라우트가 포함되었다. 이 코드를 Angular가 컴파일 한다면 실제 코드는 어떤 모양일까?

Angular는 VM (가상 머신) 친화적 코드를 생성해서 가능한 한 성능 좋은 코드를 만들어 낸다. 환상적인 일이다. 컴파일된 코드를 열어보고 조금 더 상세하게 알아보자.

AppModuleInjector

Angular는 각 모듈을 위한 인젝터(주입자, injector)를 생성한다. 위 코드에서는 AppModule (데코레이트된 코드)를 사용해서 AppModuleInjector라는 이름의 인젝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AppModuleInjector를 확인해보자.

import { NgModuleInjector } from '@angular/core/src/linker/ng_module_factory';
import { CommonModule } from '@angular/common/src/common_module';
import { ApplicationModule, _localeFactory } from '@angular/core/src/application_module';
import { BrowserModule, errorHandler } from '@angular/platform-browser/src/browser';
import { RouterModule, ROUTER_FORROOT_GUARD } from '@angular/router/src/router_module';
import { NgLocaleLocalization, NgLocalization } from '@angular/common/src/localization';
import { ApplicationInitStatus, APP_INITIALIZER } from '@angular/core/src/application_init';
import { Testability, TestabilityRegistry } from '@angular/core/src/testability/testability';
import { HttpModule } from '@angular/http/src/http_module';
import { ApplicationRef, ApplicationRef_ } from '@angular/core/src/application_ref';
import { BrowserModule } from '@angular/platform-browser/src/browser';
import { Injector } from '@angular/core/src/di/injector';
import { LOCALE_ID } from '@angular/core/src/i18n/tokens';
import { RouterModule, provideForRootGuard } from '@angular/router/src/router_module';
import { Router } from '@angular/router/src/router';
import { NgZone } from '@angular/core/src/zone/ng_zone';
import { Console } from '@angular/core/src/console';
import { ROUTES } from '@angular/router/src/router_config_loader';
import { ErrorHandler } from '@angular/core/src/error_handler';

import { AppModule } from './app.module';
import { AppComponentNgFactory } from './app.component.ngfactory';

class AppModuleInjector extends NgModuleInjector<AppModule> {
  _CommonModule_0: CommonModule;
  _ApplicationModule_1: ApplicationModule;
  _BrowserModule_2: BrowserModule;
  _ROUTER_FORROOT_GUARD_3: any;
  _RouterModule_4: RouterModule;
  _HttpModule_5: HttpModule;
  _AppModule_6: AppModule;
  _ErrorHandler_7: any;
  _ApplicationInitStatus_8: ApplicationInitStatus;
  _Testability_9: Testability;
  _ApplicationRef__10: ApplicationRef_;
  __ApplicationRef_11: any;
  __ROUTES_12: any[];

  constructor(parent: Injector) {
    super(parent, [AppComponentNgFactory], [AppComponentNgFactory]);  
  }

  get _ApplicationRef_11(): any {
    if (this.__ApplicationRef_11 == null) { 
      this.__ApplicationRef_11 = this._ApplicationRef__10; 
    }
    return this.__ApplicationRef_11;
  }

  get _ROUTES_12(): any[] {
    if (this.__ROUTES_12 == null) { 
      this.__ROUTES_12 = [[
        {
          path: '', loadChildren: './home/home.module#HomeModule'
        },
        {
          path: 'about', loadChildren: './about/about.module#AboutModule'
        },
        {
          path: 'contact', loadChildren: './contact/contact.module#ContactModule'
        }
      ]]; 
    }
    return this.__ROUTES_12;
  }

  createInternal(): AppModule {
    this._CommonModule_0 = new CommonModule();
    this._ApplicationModule_1 = new ApplicationModule();
    this._BrowserModule_2 = new BrowserModule(this.parent.get(BrowserModule, (null as any)));
    this._ROUTER_FORROOT_GUARD_3 = provideForRootGuard(this.parent.get(Router, (null as any)));
    this._RouterModule_4 = new RouterModule(this._ROUTER_FORROOT_GUARD_3);
    this._HttpModule_5 = new HttpModule();
    this._AppModule_6 = new AppModule();
    this._ErrorHandler_7 = errorHandler();
    this._ApplicationInitStatus_8 = new ApplicationInitStatus(this.parent.get(APP_INITIALIZER, (null as any)));
    this._Testability_9 = new Testability(this.parent.get(NgZone));

    this._ApplicationRef__10 = new ApplicationRef_(
      this.parent.get(NgZone), 
      this.parent.get(Console), 
      this, 
      this._ErrorHandler_7, 
      this,
      this._ApplicationInitStatus_8,
      this.parent.get(TestabilityRegistry, (null as any)),
      this._Testability_9
    );
    return this._AppModule_6;
  }

  getInternal(token: any, notFoundResult: any): any {
    if (token === CommonModule) { return this._CommonModule_0; }
    if (token === ApplicationModule) { return this._ApplicationModule_1; }
    if (token === BrowserModule) { return this._BrowserModule_2; }
    if (token === ROUTER_FORROOT_GUARD) { return this._ROUTER_FORROOT_GUARD_3; }
    if (token === RouterModule) { return this._RouterModule_4; }
    if (token === HttpModule) { return this._HttpModule_5; }
    if (token === AppModule) { return this._AppModule_6; }
    if (token === ErrorHandler) { return this._ErrorHandler_7; }
    if (token === ApplicationInitStatus) { return this._ApplicationInitStatus_8; }
    if (token === Testability) { return this._Testability_9; }
    if (token === ApplicationRef_) { return this._ApplicationRef__10; }
    if (token === ApplicationRef) { return this._ApplicationRef_11; }
    if (token === ROUTES) { return this._ROUTES_12; }

    return notFoundResult;
  }

  destroyInternal(): void {
    this._ApplicationRef__10.ngOnDestroy();
  }
}

코드가 좀 이상하게 보일지 모르지만 (그리고 실제로 생성된 코드는 더 이상하게 보일 것이다) 이 코드에서 무슨 일이 실제로 일어나는지 확인하자.

실제 생성된 코드를 좀 더 읽기 쉽도록 불러오는(import) 부분을 고쳤다. 각 모듈에서는 와일드카드를 사용해서 동일 이름으로 충돌하는 일이 없도록 처리되어 있다.

HttpModule을 불러오는 부분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import * as import6 from '@angular/http/src/http_module';

이런 접근 방식으로 HttpModule을 직접 참조하는 대신 import6.HttpModule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생성된 코드에서 살펴봐야 하는 부분은 세 가지다. 클래스에 있는 프로퍼티, 모듈이 어떻게 불려오는지, 그리고 의존성 주입 원리가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대해서다.

AppModuleInjector 프로퍼티

각 프로바이더와 의존성을 처리하기 위해서 AppModuleInjector프로퍼티가 생성되었다.

// ...
class AppModuleInjector extends NgModuleInjector<AppModule> {
  _CommonModule_0: CommonModule;
  _ApplicationModule_1: ApplicationModule;
  _BrowserModule_2: BrowserModule;
  // ...
}

위 코드는 컴파일된 출력의 일부다. 이 클래스에 선언된 세 가지 프로퍼티를 확인해보자.

  • CommonModule
  • ApplicationModule
  • BrowserModule

작성한 모듈에서는 BrowserModule만 사용했는데 CommonModuleApplicationModule은 어디서 온 것일까? 이 정보는 BrowserModule의해 추가된 부분으로 이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 직접 불러올 필요가 없도록 컴파일에 포함되었다.

또한 모듈의 모든 프로퍼티 끝에는 숫자가 붙어 있다. 와일드카드로 모듈을 불러온 것처럼 각 프로바이더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명칭으로 인한 잠재적 충돌을 피하기 위한 방법이다.

두 모듈이 동일한 이름의 서비스를 사용한다면 위 설명처럼 숫자를 붙이지 않고서는 같은 이름의 프로퍼티에 저장되어 잠재적인 오류의 원인이 될 것이다.

모듈 불러오기

컴파일을 수행하면 Angular는 각 프로바이더를 불러올 때 직접적인 경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코드를 작성할 때는 다음처럼 작성해도 된다.

import { CommonModule } from '@angular/common';

AoT 컴파일된 버전은 다음과 같다.

import * as import5 from '@angular/common/src/common_module';

코드가 컴파일되고 번들로 묶이면 나무 흔들기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각 모듈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부분만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의존성 주입

각 모듈은 각자의 의존성 주입을 처리하는데 만약 의존성을 찾지 못한다면 찾을 때까지 부모 모듈을 타고 올라간다. 계층을 다 탐색해도 찾지 못하면 그때 오류가 발생한다.

모든 의존성은 토큰을 통해 유일함을 확인하는데 이 접근 방식은 의존성을 등록할 때와 찾을 때 모두 사용된다.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법은 createInternal를 사용하는 방법과 프로퍼티의 게터(getter)를 사용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다.

불려오는 모듈이나 밖으로 보내는 모듈은 createInternal과 함께 생성된다. 이 부분은 모듈이 인스턴스로 만들어지는 순간에 실행된다.

다음은 BrowserModuleHttpModule을 사용하는 경우다. 모듈을 사용하면 다음같은 코드가 생성된다.

class AppModuleInjector extends NgModuleInjector<AppModule> {
  _CommonModule_0: CommonModule;
  _ApplicationModule_1: ApplicationModule;
  _BrowserModule_2: BrowserModule;
  _HttpModule_5: HttpModule;
  _AppModule_6: AppModule;

  createInternal(): AppModule {
    this._CommonModule_0 = new CommonModule();
    this._ApplicationModule_1 = new ApplicationModule();
    this._BrowserModule_2 = new BrowserModule(this.parent.get(BrowserModule, (null as any)));
    this._HttpModule_5 = new HttpModule();
    this._AppModule_6 = new AppModule();
    // ...
    return this._AppModule_6;
  }
}

BrowserModule에는 두 외부 모듈인 CommonModuleApplicationModule이 생성되었고 불러온 모듈도 만들어졌다. 또한 실제 모듈인 AppModule도 생성되어 다른 모듈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다른 모든 프로바이더를 위해서는 생성을 한 후에 필요에 따라 클래스의 게터로 주입한다.

언제든 Angular에서 인젝터를 듣는다면 이 인젝터는 모듈에서 생성된 (컴파일된) 코드를 참조한다는 뜻이다.

Angular가 의존성을 확인할 때(예를 들면 constructor를 통해 주입할 때) 모듈 인젝터 속을 보고 찾고 찾지 못했다면 부모 모듈을 추적해서 계속 검색한다. 그래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오류가 발생한다.

constructor에 타입 정의를 사용하면 Angular는 이 타입(여기서는 클래스)을 토큰으로 사용해 의존성을 찾는다. 그런 후에 이 토큰은 getInternal로 전달되는데 의존성이 존재한다면 해당 의존성의 인스턴스를 반환하게 된다. 소스 코드를 확인하자.

class AppModuleInjector extends NgModuleInjector<AppModule> {

  // new BrowserModule(this.parent.get(BrowserModule, (null as any)));
  _BrowserModule_2: BrowserModule;

  // new HttpModule()
  _HttpModule_5: HttpModule;

  // new AppModule()
  _AppModule_6: AppModule;

  getInternal(token: any, notFoundResult: any): any {
    if (token === BrowserModule) { return this._BrowserModule_2; }
    if (token === HttpModule) { return this._HttpModule_5; }
    if (token === AppModule) { return this._AppModule_6; }

    return notFoundResult;
  }
}

getInternal 메소드 안을 보면 Angular가 토큰을 단순한 if 문을 사용해서 확인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맞는 의존성을 찾는다면 프로바이더를 위해 연관된 프로퍼티를 반환하게 된다.

반면 notFoundResult를 반환하면 getInternal 메소드는 사용하지 않는다. Angular에서 필요한 의존성을 찾는 동안에 notFoundResultnull이 된다. 최상위 모듈까지 훑어도 의존성을 찾지 못했다면 오류가 발생한다.

정리하며

이 글이 @Inject@Injectable, 토큰과 프로바이더, 그리고 Angular가 AoT 컴파일을 통해 VM 친화적인 코드를 생성하는지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새로 옮긴 회사에서 열심히 레거시를 정리하고 있다. 기존 코드는 관리가 전혀 되지 않는 인하우스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고 있어서 전반적으로 구조를 개편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이 포스트는 Mark SeemannService Locator is an Anti-Pattern를 번역한 글로 최근 읽었던 포스트 중 이 글을 레퍼런스로 하는 경우를 자주 봐서 번역하게 되었다.


서비스 로케이터는 안티패턴입니다.

서비스 로케이터는 마틴 파울러가 설명한 이후로 잘 알려진 패턴이니까 분명 좋은 패턴일 것입니다.

아쉽게도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이 패턴은 안티 패턴으로 되도록 피해야 하는 방식입니다.

왜 안티 패턴인지 더 살펴보도록 합시다. 서비스 로케이터를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문제는 클래스의 의존성을 숨긴다는 점입니다. 다시 말해 컴파일 중에는 오류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런타임에서는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전에 작성한 코드와 호환이 되지 않는 방식으로 코드를 변경했다고 가정해봅시다. 어느 클래스가 어떤 클래스에 의존하고 있는지 명확하게 들어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는 그 변경이 어느 클래스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로 인해서 새로운 코드를 작성할 때마다 어디가 고장나는지 정확히 알 수 없어서 유지보수가 더 어려워질 수 밖에 없습니다.

OrderProcessor 예제

예제로 요즘 의존성 주입에서 가장 이슈라고 볼 수 있는 OrderProcessor를 살펴봅시다. 주문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OrderProcessor에서 주문을 검증하고, 검증 결과에 문제가 없으면 배송을 처리합니다. 정적 서비스 로케이터의 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public class OrderProcessor : IOrderProcessor
{
    public void Process(Order order)
    {
        var validator = Locator.Resolve<IOrderValidator>();
        if (validator.Validate(order))
        {
            var shipper = Locator.Resolve<IOrderShipper>();
            shipper.Ship(order);
        }
    }
}

위 코드에서 new 오퍼레이터를 대체하려고 서비스 로케이터를 사용했습니다. Locator는 다음처럼 구현되어 있습니다.

public static class Locator
{
    private readonly static Dictionary<Type, Func<object>>
        services = new Dictionary<Type, Func<object>>();

    public static void Register<T>(Func<T> resolver)
    {
        Locator.services[typeof(T)] = () => resolver();
    }

    public static T Resolve<T>()
    {
        return (T) Locator.services[typeof(T)]();
    }

    public static void Reset()
    {
        Locator.services.Clear();
    }
}

LocatorRegister 메소드를 사용해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 서비스 로케이터는 위 코드보다 훨씬 진보된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이 간단한 예제 코드로도 충분히 문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로케이터는 확장이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구현되었습니다. 또한 테스트 더블(Test Doubles)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어서 서비스를 테스트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렇게 좋은 점이 많은데 어떤 부분이 문제가 될 수 있을까요?

API 사용 문제

단순하게 OrderProcessor 클래스를 사용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서드파티에서 제공한 어셈블리라면 우리가 코드를 직접 작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Reflector를 사용해서 구현을 확인해야 할 것입니다.

비주얼 스튜디오의 인텔리센스는 다음 그림처럼 동작합니다.

자동완성을 보면 클래스가 기본 생성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이 클래스로 새 인스턴스를 생성한 다음에야 Process 메소드를 올바르게 실행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var order = new Order();
var sut = new OrderProcessor();
sut.Process(order);

이 코드를 실행하면 예상하지 못한 KeyNotFoundException이 발생하는데 IOrderValidatorLocator에 등록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소스 코드에 접근할 수 없는 라이브러리나 패키지라면 어떤 부분으로 오류가 발생한 것인지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게 됩니다.

소스 코드를 (또는 Reflector를 사용해서) 찬찬히 들여다 보거나, 문서를 참고해서 결국 IOrderValidator 인스턴스를 전혀 관련 없어 보이는 정적 클래스 Locator에 등록해야 한다는 사실을 아마도 발견할 수도 있을 겁니다.

유닛 테스트에서는 다음처럼 작성할 수 있습니다.

var validatorStub = new Mock<IOrderValidator>();
validatorStub.Setup(v => v.Validate(order)).Returns(false);
Locator.Register(() => validatorStub.Object);

Locator의 내부 저장소도 정적이라서 테스트를 작성하는 과정도 번거롭습니다. 매 유닛 테스트가 끝나는 순간마다 Reset 메소드를 실행해야 하기 때문인데요. 이 경우는 유닛 테스트의 경우에만 주로 해당되는 문제긴 합니다.

여기까지 살펴본 내용으로도 이 방식의 API는 긍정적인 개발 경험을 제공한다고 말하기엔 어렵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관리 문제

사용자 관점에서도 서비스 로케이터를 사용하는 일이 문제가 가득하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이 관점은 유지보수하는 개발자에게도 쉽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OrderProcessor의 동작을 확장해서 IOrderCollector.Collect 메소드를 호출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쉽게 기능을 추가할 수 있을…까요?

public void Process(Order order)
{
    var validator = Locator.Resolve<IOrderValidator>();
    if (validator.Validate(order))
    {
        var collector = Locator.Resolve<IOrderCollector>();
        collector.Collect(order);
        var shipper = Locator.Resolve<IOrderShipper>();
        shipper.Ship(order);
    }
}

단순하게 본다면 매우 간단한 구현입니다. 그저 Locator.Resolve를 한 번 더 호출하고 IOrderCollector.Collect를 실행하는 코드로 끝납니다.

여기서 질문이 있습니다. 이 새로운 기능은 변경 전의 코드와 호환이 될까요?

놀랍게도 이 질문은 답변하기 어렵습니다. 일단 컴파일에서는 문제가 생기지 않지만 유닛 테스트는 실패하게 됩니다. 실제 프로그램에서도 문제가 발생했을까요? IOrderCollector 인터페이스가 다른 컴포넌트에서 사용되어서 이미 서비스 로케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상황이라면 이 코드는 문제 없이 동작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정 반대의 상황도 가정해볼 수 있을 겁니다. 테스트는 통과하면서 실제로는 오류가 나는 경우도 완전 없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결론적으로 서비스 로케이터를 사용하면 지금 변경한 코드가 문제를 만드는 변경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더욱 어려워지게 됩니다. 코드를 수정하거나 작성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로케이터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전체를 모두 이해해야만 합니다. 이 상황에서는 컴파일러도 도움을 줄 수 없겠죠.

변형: 구체적인 서비스 로케이터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없을까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아봅시다. 정적 클래스가 아닌 구체적인(구상, concreate) 클래스로 변경하면 가능할 것 같습니다.

public void Process(Order order)
{
    var locator = new Locator();
    var validator = locator.Resolve<IOrderValidator>();
    if (validator.Validate(order))
    {
        var shipper = locator.Resolve<IOrderShipper>();
        shipper.Ship(order);
    }
}

하지만 여전히 설정이 필요해서 다음과 같은 정적 필드(services)를 활용하게 됩니다.

public class Locator
{
    private readonly static Dictionary<Type, Func<object>>
        services = new Dictionary<Type, Func<object>>();

    public static void Register<T>(Func<T> resolver)
    {
        Locator.services[typeof(T)] = () => resolver();
    }

    public T Resolve<T>()
    {
        return (T) Locator.services[typeof(T)]();
    }

    public static void Reset()
    {
        Locator.services.Clear();
    }
}

정리하면, 구체적인 클래스로 정의한 서비스 로케이터는 앞에서 작성한 정적 구현과 크게 구조적인 차이가 없습니다. 즉, 여전히 동일한 문제가 나타납니다.

변형: 추상 서비스 로케이터

다른 변형은 실제 의존성 주입이 동작하는 방식과 비슷합니다. 서비스 로케이터는 다음 IServiceLocator 인터페이스를 구현합니다.

public interface IServiceLocator
{
    T Resolve<T>();
}

public class Locator : IServiceLocator
{
    private readonly Dictionary<Type, Func<object>> services;

    public Locator()
    {
        this.services = new Dictionary<Type, Func<object>>();
    }

    public void Register<T>(Func<T> resolver)
    {
        this.services[typeof(T)] = () => resolver();
    }

    public T Resolve<T>()
    {
        return (T) this.services[typeof(T)]();
    }
}

이 변형은 결과적으로 서비스 로케이터를 필요로 하는 곳에 직접 주입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생성자 주입(Constructor Injection)**은 의존성 주입에서 좋은 방식이기 때문인데요. 이제 OrderProcessor를 다음처럼 변경해서 서비스 로케이터를 OrderProcessor 내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public class OrderProcessor : IOrderProcessor
{
    private readonly IServiceLocator locator;

    public OrderProcessor(IServiceLocator locator)
    {
        if (locator == null)
        {
            throw new ArgumentNullException("locator");
        }

        this.locator = locator;
    }

    public void Process(Order order)
    {
        var valiator =
            this.locator.Resolve<IOrderValidator>();

        if (validator.Validate(order))
        {
            var shipper =
                this.locator.Resolve<IOrderShipper>();
            shipper.Ship(order);
        }
    }
}

그럼 이제 충분한가요?

개발자 관점으로는 이제 인텔리센스에서 알려주는 정보가 조금 더 많아졌습니다.

인텔리센스가 OrderProcessor.OrderProcessor(IServiceLocator locator)를 보여줌

이 정보가 유익한가요? 사실, 별 영양가가 없습니다. OrderProcessorServiceLocator를 필요로 한다는 정보는 조금 더 알 수 있겠지만 실제로 이 서비스 로케이터에서 무슨 서비스를 꺼내 사용하고 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다음 코드는 컴파일이 가능하지만 코드를 실행하면 앞서 나타났던 KeyNotFoundException가 동일하게 발생하게 됩니다.

var order = new Order();
var locator = new Locator();
var sut = new OrderProcessor(locator);
sut.Process(order);

유지보수를 하는 개발자 입장에서도 향상된 부분이 딱히 없습니다. 다른 서비스에 의존적인 코드를 추가하더라도 문제가 발생하는지 안하는지 확답해서 말하기 여전히 어렵습니다.

정리

서비스 로케이터 문제는 특정 서비스 로케이터 구현을 사용한다고 해서 발생 유무가 달라지는 문제가 아닙니다. 이 패턴을 사용하면 언제든 문제가 나타나는, 진정한 안티-패턴입니다. (물론 특정 구현에 더 문제가 있는 경우는 얼마든지 있습니다.) 이 패턴은 API를 소비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끔찍한 개발 경험을 제공합니다. 유지보수를 하는 개발자 입장에서는 변경 하나 하나를 만들 때마다 두뇌를 풀가동해서 변경이 미치는 모든 영향을 파악해야 하므로 더욱 고통스러워질 것입니다.

생성자 주입을 사용한다면 컴파일러는 코드를 소비하는 사람과 생산하는 사람 모두에게 도움이 됩니다. 서비스 로케이터에 의존하는 API라면 이런 도움을 전혀 받을 수 없습니다.

  • 의존성 주입 패턴과 안티 패턴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제 책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서비스 로케이터는 SOLID 원칙을 위반한다는 점에서 부정적입니다.
  • 서비스 로케이터의 근본적인 문제는 캡슐화 위반에서 나타납니다.

웹사이트 설정

웹페이지 색상을 선택하세요

Darkreader 플러그인으로 선택한 색상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