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미널에서 rename을 이용하면 정규표현식으로 한번에 파일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mac에 기본적으로 없는 것 같으니 homebrew를 이용해서 rename을 설치한다.

brew install rename

rename 정규식 파일조건으로 변경할 수 있다.

rename s/en\-US/en\-AU/ *.html

변경 전에 어떤 식으로 변경이 될지 -n 플래그를 사용해 확인할 수 있다.

rename -n s/en\-US/en\-AU/ *.html

OWIN은 Open Web Interface for .NET의 약어로 요즘 MS 진영에서 핫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다. 다음은 OWIN 공식 사이트에 나와 있는 프로젝트의 목표.

The goal of the OWIN interface is to decouple server and application,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simple modules for .NET web development, and, by being an open standard, stimulate the open source ecosystem of .NET web development tools.

MS에서 제공하는 ASP.NET MVC framework는 System.Web에, 특히 HttpContext에 깊은 의존성이 있어서 IIS 이외에는 구동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OWIN 구현을 통해 웹서버와 어플리케이션의 의존성이 분리1되어 IIS 이외의 웹서버에서도 C#으로 작성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게 되었다.2 OWIN은 인스턴스로 처리하기 간편한 구조라 횡적으로 확장이 쉬운데다 서버의 유연성까지 보장하고 있다. OWIN을 이용해 개발한다면 ASP.NET MVC을 기반으로 작업할 수 없지만3 Nancy나 Simple.Web 등 다양한 프레임워크/라이브러리를 활용할 수 있다.

OWIN의 구조

OWIN 명세에서는 각각 서버, 웹프레임워크, 웹 어플리케이션, 미들웨어, 호스트로 정의했다. 발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 서버: HTTP 서버로 클라이언트와 직접 소통. 요청을 처리하는데 OWIN 문맥을 사용. 서버는 OWIN 문맥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어뎁터 레이어가 필요.
  • 웹 프레임워크: 요청을 처리하는데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OWIN에서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돕는 독립적 컴포넌트. OWIN 문맥을 이해할 수 있는 어뎁터 레이어 필요.
  • 웹 어플리케이션: 웹프레임워크 위에서 개발 가능하며, OWIN 호환 서버에서 구동이 가능한 특정 어플리케이션.
  • 미들웨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파이프라인을 통과해 구동되는 컴포넌트로 특정의 목적에 따라 응답과 요청을 점검, 라우팅 또는 수정할 수 있음.
  • 호스트: 서버 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응답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특정 서버는 호스트의 역할도 수행함.

OWIN의 전체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다.

owin

서버를 통해 요청이 들어오면 호스트는 Startup 클래스에 정렬된 파이프라인을 따라 미들웨어를 실행한 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응답 또한 미들웨어를 거쳐 빠져나간다. 미들웨어는 Task를 이용해 다음 파이프라인으로 컨텍스트를 넘겨준다. 각각의 미들웨어는 앞서의 정의처럼 응답과 요청을 조작할 수 있다.

OWIN 명세에서는 AppFunc라고 불리는 어플리케이션 대리자(delegate)를 통해 환경을 주고 받는다. 명세에서는 다음과 같이 환경과 Task로 구성되어 있다.

using AppFunc = Func<
    IDictionary<string, object>, // Environment
    Task>; // Done

환경은 크게 요청, 응답, 기타 데이터로 구분되는데 자세한 내용은 OWIN 스펙에서 찾아볼 수 있다. MS에서는 OWIN 명세를 기반으로 Katana라는 이름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Microsoft.Owin) 여기에서는 IOwinContext 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이 포스트의 예제에서도 IOwinContext를 사용하고 있다.

맛보기 코드

OWIN 어플리케이션

이 포스트에서는 누구나 따라해볼 수 있도록 Mono 환경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IDE로는 Xamarin Studio를 사용했다.

Xamarin Studio을 실행해 새 솔루션을 생성한다. Console에서 self-host로 구동하는 예제이므로 Console Project를 선택한다. (Visual Studio를 이용하는 예제에서는 Web Empty Project를 사용해도 된다.4)

create solution

먼저 최신 패키지 설치를 위해 target framework를 Mono / .NET 4.5로 변경해야 한다. 해당 솔루션의 옵션에서 Build > General에서 변경할 수 있다.

options

project options

솔루션에 패키지를 추가한다. 솔루션에 오른쪽 클릭해서 Add > Add Packages... 를 클릭한다.

add packages menu

Show pre-release packages를 체크하고 Owin을 검색한다. 검색 결과에서 OWIN, Microsoft.Owin, Microsoft.Owin.Hosting, Microsoft.Owin.Host.HttpListener를 체크하고 Add Packages 버튼을 누른다.

add packages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OWIN에서 엔트리 포인트가 될 Startup.cs 파일을 추가한다.

create file

이 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5

using System;
using Owin;
using Microsoft.Owin;

[assembly: OwinStartup(typeof(OwinHelloWorld.Startup))]
namespace OwinHelloWorld
{
    public class Startup
    {
        public void Configuration(IAppBuilder app)
        {
            app.Run (context => {
                context.Response.ContentType = "text/html";
                return context.Response.WriteAsync("<h1>It Works</h1>");
            });
        }

    }
}

Startup 클래스의 Configuration(IappBuilder app)메소드를 통해서 어떤 미들웨어에 어떤 순서로 접근하며(app.Use()) 최종적으로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app.Run()) 작성하게 된다.

[assembly: OwinStartup(typeof(OwinHelloWorld.Startup))] 부분은 이 Owin 코드가 컨테이너 형태로 실행될 때 엔트리 포인트를 지정해주는 부분이다. (이외에도 appsettings에 추가해주거나 owinhost.exe를 실행할 때 미리 선언한 identifier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제 이 인터페이스를 실질적으로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줄 콘솔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한다. Program.cs를 열어 다음의 코드를 입력한다.

using System;
using Microsoft.Owin.Hosting;

namespace OwinHelloWorld
{
    class Main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var url = "http://localhost:9000";
            using (WebApp.Start<Startup> (url)) {
                Console.WriteLine (url);
                Console.WriteLine ("Press enter to quit.");
                Console.ReadLine ();
            }
        }
    }
}

Microsoft.Owin.Hosting.WebApp으로 Startup 클래스를 구동한다. 이 과정에서 내부적으로 Microsoft.Owin.Host.HttpListener를 사용한다.

이제 프로젝트를 빌드하고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콘솔 화면이 나타난다.

console

그리고 해당 주소를 브라우저에서 열면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다.

helloworld

미들웨어 Middleware

미들웨어 간의 소통은 앞에서 말한 appFunc를 사용해 환경과 컨텍스트를 넘겨주는데 여기 예제에서는 Katana에서 제공하는 OwinMiddleware 클래스와 IOwinContext 인터페이스를 활용해 미들웨어를 작성할 것이다.

다음은 MyFirstMiddleware.cs의 코드다.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Tasks;
using Owin;
using Microsoft.Owin;

namespace HelloWorldOwin
{
  public class MyFirstMiddleware : OwinMiddleware
  {
    public MyFirstMiddleware (OwinMiddleware next) : base(next)
    {
    }

    public override async Task Invoke(IOwinContext context){
      context.Response.Write ("<!doctype html><html><body>");
      await Next.Invoke (context);
      context.Response.Write ("</body></html>");
    }
  }
}

OwinMiddleware 클래스를 상속받는 MyFirstMiddlewareInvoke(IOwinContext) 메소드를 사용해 해당 미들웨어에서 데이터를 핸들링 하거나 응답/요청을 변경하는 등의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다음은 MySecondMiddleware.cs의 코드다.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Tasks;
using Owin;
using Microsoft.Owin;

namespace HelloWorldOwin
{
  public class MySecondMiddleware : OwinMiddleware
  {
    public MySecondMiddleware (OwinMiddleware next) : base(next)
    {
    }

    public override async Task Invoke(IOwinContext context){
      context.Response.Write ("<header><h1>It works</h1></header>");
      await Next.Invoke (context);
      context.Response.Write ("<footer><a href=\"http://localhost:9000\">http://localhost:9000</a></footer>");
    }
  }
}

파이프라인의 흐름을 보여주기 위해서 그냥 예시 코드를 넣은 두번째 미들웨어다. 마지막으로 Startup.cs로 돌아가서 해당 미들웨어를 파이프라인으로 집어 넣는다.

using System;
using Owin;
using Microsoft.Owin;

[assembly: OwinStartup(typeof(HelloWorldOwin.Startup))]

namespace HelloWorldOwin
{
  public class Startup
  {
    public void Configuration(IAppBuilder app)
    {
      app.Use (typeof(HelloWorldOwin.MyFirstMiddleware));
      app.Use (typeof(HelloWorldOwin.MySecondMiddleware));

      app.Run (context => {
        context.Response.ContentType = "text/html";
        return context.Response.WriteAsync("<p>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icing elit, sed do eiusmod tempor incid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a.</p>");
      });
    }
  }
}

app.Use()로 각각의 미들웨어를 연결했다. 앞서 예제와 동일하게 구동해보면 다음 결과를 볼 수 있다.

Owin with MiddlewareMiddleware Result

특별한 예제가 딱히 떠오르지 않아서 그냥 html 코드를 넣었는데 GitHub이나 nuget 리포지터리에 OAuth Autentication 같은 멋진 미들웨어가 많이 있어 위와 같이 간편하게 추가만 하면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까지 OWIN에 대해 살펴봤다. 아직 C#는 초보라서 깊이있게 글을 쓰지 못하는게 아쉽다. 하지만 앞으로의 발전이 더 기대되고 꾸준히 Follow-up 할 닷넷 프로젝트가 될 것 같다.

예제 코드

예제는 모두 Xamarin Studio로 작성했고 GitHub 리포지터리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HelloWorldOwin : 위에서 작성한 예제 코드
  • HelloWorldOwinHost : owinhost.exe로 구동하는 예제 코드로 web.config등 Configuration 하는 방식이 조금 다르다.

더 읽을 거리

  • Python에서의 uWSGI와 유사한 접근 방식이다. 
  • OWIN에서 ASP.NET MVC를 구동할 수는 없지만 MVC에서는 Helios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OWIN을 사용할 수 있다. IIS의 파이프라인 중간에서 OWIN을 구동하게 돕는다. 
  • ASP.NET MVC에서 OWIN은 구동 가능하지만(Helios) 아직까지는 OWIN에서 ASP.NET MVC를 쓸 수는 없다. WebAPI는 OWIN 기반이라 현재도 활용 가능. MVC vNext에서는 OWIN도 지원될 예정이라고. 
  • Mono에 내장된 웹서버인 xsp는 아직 OWIN Startup을 인식하지 못해 Web Project로 시작하면 mscorlib 에러를 만나게 된다. 
  • 사실 Flask처럼 Python uWSGI를 기반으로 한 라이브러리/모듈을 사용해봤다면 익숙한 양식이다. 
  • 서비스나 웹사이트를 테스트를 하다보면 사용자에게 메일이 발송되는지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실제로 운영되는 서비스를 테스트 환경에 놓고 테스트 하다가 메일이 사용자에게 발송되어 버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물론 sendmail을 꺼두는 것도 방법이긴 하지만… Postfix를 사용하고 있다면 서버에서 발송되는 모든 메일을 하나의 메일 주소로 수신하게 설정할 수 있다. (Postfix가 서버에 없다면 설치하자.)

    먼저 /etc/postfix/recipient_canonical_map 파일을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    dev@haruair.com
    

    이 맵핑 파일에서 앞부분은 정규표현식이며 수신자가 정규표현식에 해당하면 뒷부분의 이메일로 리다이렉트 하도록 처리해준다. 정규표현식으로 여러 조건을 만들어 여러 이메일로 리다이렉트 할 수도 있다. 해당 파일을 저장하고 나서 /etc/postfix/main.cf를 열어 맵핑한 파일을 참조하도록 다음 설정을 추가한다.

    recipient_canonical_classes = envelope_recipient
    recipient_canonical_maps = regexp:/etc/postfix/recipient_canonical_map
    

    위 설정에서 recipient_canonical_classes는 기본값이 envelope_recipient, header_recipient인데 header_recipient는 수신자를 해당 리다이렉트 되는 이메일로 치환해버리기 때문에 확인하는데 불편함이 있어서 위와 같이 envelope_recipient만 설정한다. 두번째는 보는 것과 같이 맵파일의 경로를 설정해준다.

    수정을 완료하고 저장한 후 postfix 설정을 다시 불러오면 모든 과정이 끝난다.

    $ postfix reload
    

    postfix 설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postfix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Windows에서는 Papercut을 켜두면 해당 서버에서 발송되는 메일이 실제로는 발송되지 않고 모두 로컬에 저장되어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PHP를 디버깅하기 위해서는 Xdebug와 같은 확장을 서버에 설정해야 하고 리모트로 디버깅 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이 글에서는 서버로 MAMP를 활용하며 클라이언트로 Sublime text를 활용한다.

    Xdebug 활성화하기

    MAMP에는 이미 Xdebug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php.ini를 찾아 수정해주면 바로 활성화 할 수 있다. php.ini의 위치는 MAMP 기본 설치 시 /Applications/MAMP/bin/php/php<버전>/conf/php.ini에 있다. 해당 파일을 열어 가장 마지막줄로 이동하면 다음과 같이 주석처리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xdebug]
    ;zend_extension="/Applications/MAMP/bin/php/php5.5.10/lib/php/extensions/no-debug-non-zts-20121212/xdebug.so"
    

    PHP 버전에 따라 위 내용이 다를 수 있다. 해당 확장을 불러올 수 있도록 맨 앞에 ;를 지운다. 그리고 리모트 디버깅을 위해 다음과 같이 내용을 추가해 저장한다.

    [xdebug]
    zend_extension="/Applications/MAMP/bin/php/php5.5.10/lib/php/extensions/no-debug-non-zts-20121212/xdebug.so"
    xdebug.remote_autostart=1
    xdebug.remote_connect_back=1
    xdebug.remote_enable=1
    xdebug.remote_port=9000
    

    Sublime text에 Xdebug Client 설치 및 디버깅

    Cmd + Shift + P 를 눌러 Command Palette를 열고 Install Package를 실행해 Xdebug Client를 설치한다.

    설치 후 메뉴에서 Tools > Xdebug > Start Debugging을 실행해 디버깅 세션을 시작한다.

    세션이 정상적으로 시작되었다면 디버깅 하고자 하는 페이지에 다음과 같이 디버깅 쿼리 스트링을 붙여 다시 접속해보면 Sublime Text에서 디버깅이 가능한걸 확인할 수 있다.

    http://localhost/example.php?XDEBUG_SESSION_START=sublime.xdebug
    

    하단 4개의 창에서 Context, Watch, Stack, Breakpoint를 확인할 수 있으며 코드에서 오른쪽 클릭으로 Breakpoint나 watch expression을 추가해 확인할 수 있다.

    OSX에서 사용 가능한 클라이언트

    근래의 대다수 에디터와 IDE에서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에디터나 IDE에 있는 기능을 먼저 확인해보도록 하자. 다음은 OSX에서 사용 가능한 standalone 클라이언트다.

    다른 브라우저를 사용하다가도 구글 크롬으로 돌아오게 되는 가장 큰 이유가 개발자 도구 때문이다. 물론 다른 브라우저에 내장된 개발자 도구들도 뛰어나지만 오래 사용하다보니 단축키나 사소한 기능들이 손에 익어버린 이유가 크다.

    최근들어 멀티커서나 재미있는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어 나중엔 별도의 도구 없이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이 글은 정말 소소소한 팁을 다루고 있다. 소소하다 못해 소소소한데 뭐 이런걸 포스팅하냐 하시면 제가 할 말이 없습니다. ;ㅅ;)

    크롬 개발자도구를 더 자세히 보고 싶다면 생활코딩 크롬 개발자도구편을 살펴보자.

    소소소한 팁

    개발자도구는 햄버거 버튼 > 도구 > 개발자 도구에서 열 수 있다. 맥에서의 단축키는 option(alt) + cmd + i로 열 수 있다.

    창 크기 확인하기

    개발자도구를 연 상태에서 창 크기를 변경하면 창 크기를 표시해준다.

    엘리먼트 순서 변경, 제거하기

    엘리먼트를 드래그-드롭으로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delete 키를 누르면 제거할 수 있다.

    픽셀값 변경하기

    px, % 등의 값은 선택하고서 ↑, ↓ 키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Shift + ↑, ↓ 는 10단위로 이동 가능하다.

    색상 변경하기

    css에서 색상을 보여주는 작은 색 박스를 클릭하면 컬러픽커로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Pseudo class 바로 확인하기

    styles 탭에서 우측 상단에 pseudo class를 확인할 수 있는 셀렉터가 있다. 클릭해보면 4개의 pseudo class를 테스트 할 수 있다.

    물론 해당 엘리먼트에서 오른쪽 클릭해도 확인할 수 있다.

    평소에 짧은 메모를 많이 적는 편이다. 맥에서 메모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가 많이 있긴 하지만 완제품인 어플리케이션을 내 취향대로 수정해 사용할 수 없는 부분이 가장 불편하다. 손에 딱 맞는,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찾아야하는데 그게 말처럼 쉽지 않다. 그래서 내 경우에는 오래 전부터 로컬에 나만 접근 가능한 워드프레스를 만들어 글쓰기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다양한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될 위험이 없으며, 추후 외부 공개로 전환하기에도 간편하다.1 만약 마크다운으로 작성하고 싶다면 일반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완료된다. 특히 워드프레스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는 것도 큰 장점인데 각각의 글 변경사항을 관리해주는 부분, Just write 기능 등 글을 관리하는데 있어 유용하다. 물론 태그나 카테고리, 기간별 아카이빙 등 기본적인 기능들도 큰 도움이 된다.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수 있는 환경은 MAMP라는 앱을 사용하면 쉽고 간편하게 진행 할 수 있다.

    MAMP 설치하기

    MAMP는 Mac을 위한 Apache, MySQL, PHP로 맥에서 웹서버를 구동해주는 앱이다. 일반적으로는 각각 설치하고 세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MAMP는 단지 버튼 하나만 누르면 끄고 켤 수 있도록 돕는다.

    MAMP를 공식 사이트에서 내려받는다.

    MAMP Website

    내려받은 MAMP를 설치한다. 설치에는 980MB 정도를 요구한다. 내려받은 파일을 실행해 설치한다. 2

    MAMP Install

    설치가 완료되면 MAMP를 실행한다. 실행하면 MAMP PRO를 실행할 것인가 물어보는데 Check for MAMP PRO when starting MAMP 체크를 해제하고 Launch MAMP 클릭한다. MAMP PRO는 서버 관리에 있어 더 편리한 도구를 많이 제공하는데 지금은 MAMP면 충분하다.

    MAMP Management Panel

    이제 MAMP 관리 페널인데 버튼이 3개 있다. 우측에 Start Servers 버튼을 누르면 서버가 실행되고 서버 관리 웹페이지가 뜬다.

    MAMP Admin Webpage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기에 앞서 워드프레스의 데이터가 저장될 공간인 데이터베이스를 추가해야 한다. 위에서 본 서버 관리 웹페이지에 상단 메뉴에서 Tools > phpMyAdmin을 클릭한다.

    phpMyAdmin

    상단에 Databases 탭을 클릭, Create database 밑에 Database name에 wordpress를 입력하고 오른쪽 Create 버튼을 클릭한다. (다른 데이터베이스명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Create a database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wordpress website

    워드프레스 웹사이트에서 워드프레스를 내려받는다. 영어 또는 한국어 등 자신이 선호하는 버전을 설치하면 된다.

    Apache Tab

    내려받은 파일을 MAMP 안에 htdocs 폴더에 넣고 압축을 푼다. htdocs 폴더 경로는 /Application/MAMP/htdocs 인데 MAMP 관리 패널에서 Preferences… > Apache 탭으로 들어가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MAMP 폴더가 나타난다. 거기 htdocs 폴더를 열어 거기에 받은 파일을 넣자.

    다음으로 wp-config.php 파일을 내려받아 압축 해제한 폴더 안에 넣는다. wp-config.php는 앞에서 추가한 데이터베이스와 워드프레스를 연결하기 위한 정보가 들어있는 파일이다. MAMP의 기본 아이디와 비밀번호, 앞서 데이터베이스명을 미리 입력해둔 파일이라 해당 위치에 잘 넣기만 하면 된다. (만약 위에서 생성한 데이터베이스 이름이 wordpress가 아니라면 이 파일을 열어 수정해야 한다.)

    여기까지 모두 완료되면 http://localhost:8888/wordpress 를 인터넷 주소창에 입력해 접속한다. 사이트명, 아이디, 비밀번호 등을 등록하는 절차를 걸쳐 워드프레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Welcome to wordpress

    아이디를 생성하고 로그인하면 이제 워드프레스를 로컬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Wordpress main page

  • MAMP에서 아파치 설정을 해주면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 접속 가능한 형태로도 사용 가능하다. 
  • 중간에 관리자 권한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 일반적으로 ssh에 접속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한다.

    $ ssh edward@dev.haruair.com
    

    사실 단순해 보이지만 개발자는 게을러야 하므로 ~/.ssh/config에 설정을 작성해두면 더 짧게 사용할 수 있다. ~/.ssh/config가 없다면 빈 파일을 만들면 된다. 파일 내용은 다음과 같다.

    Host dev
        HostName dev.haruair.com
        User edward
    

    이렇게 작성하면 다음과 같이 접속 가능하다. (만약 동작하지 않는다면 퍼미션을 확인해주세요. ChangWan Jun님이 chmod 440 ~/.ssh/config 식으로 퍼미션 지정이 필요하다고 알려주셨습니다.)

    $ ssh dev
    

    해당 서버가 ssh key를 기본값인 id_rsa를 사용하고 있다면 접속에 문제가 없다. (ssh key를 생성하는 방법은 이 페이지를 참조) 하지만 각각 서버마다 다른 키를 사용하고 있다면 여전히 -i 플래그를 이용해야 해서 번거롭다.

    $ ssh dev -i ~/.ssh/haruair.dev
    $ ssh company -i ~/.ssh/edward.company
    

    각각 서버마다 어떤 키를 참조할지 config에 미리 작성해둘 수 있다.

    Host dev
        HostName dev.haruair.com
        User edward
        PreferredAuthentications publickey
        IdentityFile ~/.ssh/haruair.dev
    
    Host company
        HostName dev.haruair.company
        User edward
        PreferredAuthentications publickey
        IdentityFile ~/.ssh/edward.company
    

    내 경우엔 GitHub용 키를 별도로 생성해서 등록했는데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Host github.com
        User git
        IdentityFile ~/.ssh/haruair.github
    

    이렇게 등록해두면 다음과 같이 해당 주소의 ssh를 사용할 때 해당 키를 참조하게 된다.

    $ git clone git@github.com:haruair/some-repo.git
    

    2차 도메인 등의 경우, 다음과 같이 와일드카드로도 지정이 가능하다.

    Host *.haruair.com
        User edward
        PreferredAuthentications publickey
        IdentityFile ~/.ssh/haruair.dev
    

    config 파일은 상당히 세세한 범위까지 설정이 가능한데 그 내용은 ssh_config 메뉴얼에서 확인할 수 있다.

    ssh key를 생성하고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은 복잡하지 않다. ssh-keygen으로 공개키/비밀키 한 쌍을 생성하고, 공개키 내용을 접속할 서버에 ~/.ssh/authorized_keys에 저장하면 해당 서버에 비밀번호 없이 ssh 접속이 가능하다.

    다음은 클라이언트에서 인증키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 ssh-keygen -t rsa -C "edward@haruair.com"
    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 (/home/user/.ssh/id_rsa): /home/user/.ssh/my_ssh_key # 키이름을 넣음
    Enter passphrase (empty for no passphrase): ********** # 최초 등록시 사용할 비밀문구를 입력함
    

    -t는 키의 타입이 rsa인지 dsa인지 정하는 플래그고 -C는 코멘트를 남기는 플래그다.

    위와 같이 입력하면 my_ssh_key와 my_ssh_key.pub이 생성되는데 *.pub 파일이 공개키로 서버에 등록하면 비밀번호 없이 접속이 가능해진다. 공개키의 내용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cat /home/user/.ssh/my_ssh_key.pub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터미널 상에 공개키 내용이 출력된다. 해당 내용을 복사해두자. 이제 이 내용을 서버에 접속해서 ~/.ssh/authorized_keys에 공개키를 추가해준다. 다음은 해당 서버에서 입력할 명령어다.

    $ cat >> ~/.ssh/authorized_keys
    (이 상태에서 복사한 공개키를 붙여 넣고 엔터를 눌러 줄을 바꾼 후 Ctrl+D를 누르면 저장된다.)
    

    이제 비밀번호 없이 인증키로 로그인이 가능하다.

    파일 하나의 변경 이력을 한번에 확인해야 할 때가 가끔 있다. 물론 GUI 도구들이 워낙 잘 되어 있어서 쉽게 파악이 가능한 부분이지만 콘솔에서 필요할 때 다음의 명령어를 활용할 수 있다.

    git log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단순히 커밋 로그만 보여주는 것 외에도 포맷을 달리 하거나 diff를 같이 보여준다거나 하는 기능이 있다. 여기서는 단일 파일을 확인하는 방법을 위주로 살펴보려 한다.

    다음 명령어는 해당 파일이 커밋된 기록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 git log <filename>
    

    이 목록을 diff의 결과처럼 라인별 변경 사항을 확인하고 싶다면 -p 플래그를 사용할 수 있다.

    $ git log -p <filename>
    

    내용이 너무 많으면 -<숫자> 플래그로 출력 수를 정할 수 있다.

    $ git log -p -5 <filename>
    

    특정 키워드의 변경을 확인하고 싶다면 grep을 활용할 수 있다. grep\|를 넣어 OR 색인이 가능하다. 다음은 2011070102 라는 텍스트와 함께 커밋 해시, 커밋한 사용자, 일자를 출력하는 예다.

    $ git log -p <filename> | grep '2011070102\|commit \|Author:\|Date:'
    

    1.7.2 이후에서는 --word-diff라는 플래그가 추가되었는데 플래그 이름처럼 행마다의 diff가 아니라 단어 기준의 diff를 출력해준다. (문서를 리포지터리에서 관리한다면 정말 유용하다.) 물론 git diff에서도 사용 가능한 플래그다.

    $ git log -p --word-diff <filename>
    

    상세한 설명은 Git의 기초 – 커밋 히스토리 조회하기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말에 아티클을 보다가 관심이 생겨 OpenCV를 잠깐 살펴봤다. OpenCV는 Computer Vision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로, 제공하는 예제를 통해 Face Tracking 등을 구현해볼 수 있다. 초보자를 위한 튜토리얼은 많은데 생각처럼 잘 안되는 부분들이 있어 이 글을 작성했다. 이 글에서는 Mac OSX, xcode를 사용했다.

    OpenCV는 brew를 통해서도 설치할 수 있는데, 내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는지 잘 안되서 리포지터리에서 받아 컴파일했다.

    먼저 컴파일을 위해 cmake를 brew로 설치한다.

    $ brew install cmake
    

    리포지터리를 복제한 후 build, install까지 진행한다.

    $ git clone https://github.com/Itseez/opencv.git && cd opencv
    $ mkdir build
    $ cd build
    $ cmake -G "Unix Makefiles" ..
    $ make -j8
    $ sudo make install
    

    이렇게 설치는 완료된다. /usr/local/lib에 설치된 libopencv-*.dylib를 확인할 수 있다.

    예제 구동 과정

    예제 코드를 그대로 실행하면 바로 되어야 하는데, 리포지터리에 올라가 있는 예제 프로젝트는 xcode 버전 문제로 열리지 않았다.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예제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1. XCode를 실행해 Command Line Tool 프로젝트 생성
    2. Project Navigator에서 우클릭, “Add File To…” 클릭
    3. 파일 선택창이 뜨면 “/”를 입력해 네비게이션 패널을 불러와 /usr/local/lib을 입력
    4. libopencv_<어쩌고>.dylib 을 모두 선택. (아래 예제에서는 core, highgui, imgproc, objdetect만 있어도 구동 가능.)
    5. 프로젝트 파일을 눌러 Build Settings에서 “Header Search Paths”에 /usr/local/include, “Library Search Paths”에 /usr/local/lib을 추가.
    6. 예전 버전의 cascade를 내려받음
    7. 프로젝트 파일을 눌러 Build Phases > Copy Files에 위에서 받은 xml 파일을 추가하고 “Destination”을 Products Directory로 설정

    위 과정을 끝내고 나면 main.cpp를 열어 코드를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이 코드는 opencv 리포지터리에 있는 MacOSX 예제 코드다.

    #include <CoreFoundation/CoreFoundation.h>
    #include <cassert>
    
    // Example showing how to read and write images
    #include <opencv2/opencv.hpp>
    #include <opencv2/highgui/highgui.hpp>
    
    const char  * WINDOW_NAME  = "Face Tracker";
    const CFIndex CASCADE_NAME_LEN = 2048;
    char    CASCADE_NAME[CASCADE_NAME_LEN] = "~/haarcascade_frontalface_alt2.xml";
    
    using namespace std;
    
    int main(int argc, char** argv)
    {
    
        const int scale = 2;
    
        // locate haar cascade from inside application bundle
        // (this is the mac way to package application resources)
        CFBundleRef mainBundle  = CFBundleGetMainBundle ();
        assert (mainBundle);
        CFURLRef    cascade_url = CFBundleCopyResourceURL (mainBundle, CFSTR("haarcascade_frontalface_alt2"), CFSTR("xml"), NULL);
        assert (cascade_url);
        Boolean     got_it      = CFURLGetFileSystemRepresentation (cascade_url, true,
                                                                    reinterpret_cast<UInt8 *>(CASCADE_NAME), CASCADE_NAME_LEN);
    
        if (! got_it)
            abort ();
    
        // create all necessary instances
        cvNamedWindow (WINDOW_NAME, CV_WINDOW_AUTOSIZE);
        CvCapture * camera = cvCreateCameraCapture (CV_CAP_ANY);
        CvHaarClassifierCascade* cascade = (CvHaarClassifierCascade*) cvLoad (CASCADE_NAME, NULL, NULL, NULL);
        CvMemStorage* storage = cvCreateMemStorage(0);
        assert (storage);
    
        // you do own an iSight, don't you ?!?
        if (! camera)
            abort ();
    
       // did we load the cascade?!?
        if (! cascade)
            abort ();
    
        // get an initial frame and duplicate it for later work
        IplImage *  current_frame = cvQueryFrame (camera);
        IplImage *  draw_image    = cvCreateImage(cvSize (current_frame->width, current_frame->height), IPL_DEPTH_8U, 3);
        IplImage *  gray_image    = cvCreateImage(cvSize (current_frame->width, current_frame->height), IPL_DEPTH_8U, 1);
        IplImage *  small_image   = cvCreateImage(cvSize (current_frame->width / scale, current_frame->height / scale), IPL_DEPTH_8U, 1);
        assert (current_frame && gray_image && draw_image);
    
        // as long as there are images ...
        while ((current_frame = cvQueryFrame (camera)))
        {
            // convert to gray and downsize
            cvCvtColor (current_frame, gray_image, CV_BGR2GRAY);
            cvResize (gray_image, small_image, CV_INTER_LINEAR);
    
            // detect faces
            CvSeq* faces = cvHaarDetectObjects (small_image, cascade, storage,
                                                1.1, 2, CV_HAAR_DO_CANNY_PRUNING,
                                                cvSize (30, 30));
    
            // draw faces
            cvFlip (current_frame, draw_image, 1);
            for (int i = 0; i < (faces ? faces->total : 0); i++)
            {
                CvRect* r = (CvRect*) cvGetSeqElem (faces, i);
                CvPoint center;
                int radius;
                center.x = cvRound((small_image->width - r->width*0.5 - r->x) *scale);
                center.y = cvRound((r->y + r->height*0.5)*scale);
                radius = cvRound((r->width + r->height)*0.25*scale);
                cvCircle (draw_image, center, radius, CV_RGB(0,255,0), 3, 8, 0 );
            }
    
            // just show the image
            cvShowImage (WINDOW_NAME, draw_image);
    
            // wait a tenth of a second for keypress and window drawing
            int key = cvWaitKey (100);
            if (key == 'q' || key == 'Q')
                break;
        }
    
        // be nice and return no error
        return 0;
    }
    

    코드를 빌드 및 실행하면 앱이 실행되어 얼굴의 위치를 트래킹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신기해!)

    트러블 슈팅

    • CASCADE_NAME~로 시작하지만 컴파일된 파일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 경로.
    • cvLoad()에 에러가 생길 땐 xml 경로, 파일명 문제, 디버깅용 라이브러리를 넣었을 때 등의 문제라고. 내 경우에는 최신 버전의 xml이라서 에러가 났다. 위 과정처럼 구버전의 xml을 쓰면 구동은 되지만 별로 내키지 않는 해결 방법. (코드는 개선되었는데 예제는 예전 방식으로 되어 있다거나 한 것 같다.)

    웹사이트 설정

    웹페이지 색상을 선택하세요

    Darkreader 플러그인으로 선택한 색상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