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Titus Brown의 글 A framework for thinking about Open Source Sustainability?을 번역했다. 공유지의 비극과 그 해결책을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적용해보는 글인데 오픈소스 거버넌스에서 기성 연구를 적용하는 글이라 더 흥미롭다.

오픈소스 지속가능성 체계적으로 생각해보기

공유자원 문제를 온라인 오픈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을까?

Nadia Eghbal의 아름다운 글인 “공유지의 비극”을 다시 읽었습니다. Elinor Ostrom의 공유자원 연구에 기반한 대안적 결과를 읽으며 여러 맥락에서 다양한 생각이 들었고 그 생각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Nadia는 오픈소스의 지속가능성 문제에 대해 탐구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가 상대적으로 적은 인원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금전적 보장 방법이 많지 않은 상황이라 중대한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이 문제의 규모나 범위를 따지면 누구와 대화하고 있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Python의 과학적 컴퓨팅 환경에 관한 충격적인 그림을 보면 numpy는 겨우 6명의 메인테이너가 유지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ython에서 과학적 컴퓨팅 환경을 생각해보면 numpy에 상당히 의존적이기 때문에 메인테이너의 수가 적다는 이야기는 쉽지 않은 도전처럼 들립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일반적인 도전 과제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싶다면 “The Astropy problem”, Muna et al., 2016를 보도록 합니다.

(이후 논의에서는 과학적 소프트웨어에 치중되어 있지만 더 넓은 범위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분야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이 분야는 다양한 조합의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사용하며 이런 패키지도 대학원생이나 포스트닥터, 학부에 계신 분이나 직원 등 다양한 사람이 관리하고 있습니다. 제 랩에서도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주로 khmersourmash를 개발하며 그 외에도 여럿 있습니다.) 그리고 지난 해에는 지속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도 개발했는데 주로 테스트와 지속적 통합을 중심으로 동작합니다. 하지만 항상 무언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자동화된 관리에서 정말 사소한 상수인데도 그렇습니다. 운이 좋다고 해야할지 Jupyter와 같은 프로젝트와는 다르게 저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아서 버그 리포트와 관리 문제가 주체 못할 정도로 쏟아지진 않습니다.

이미 언급했듯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상수는 꽤 노력이 필요합니다. 매주 소프트웨어의 어떤 부분이든 작업하다보면 버그와 관련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드뭅니다. 아니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뒤집어 엎어야 하는 부분이 많은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랩에서 저나 다른 사람이 갑자기 연구나 코딩에 영감이 온다면 한동안 그런 문제를 마주할 일이 없긴 할겁니다.

학습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노력이 필요합니다. 매년 2주짜리 과정분석 워크샵을 진행해 새로운 접근법, 소프트웨어, 자료 타입 등 발전에 필요한 학습을 합니다. 2010년에 배운 지식도 여전히 동작하긴 하지만 대부분 지독하게 썩었을 것이라 예상합니다.

다년간 여러 패키지를 관찰해본 제 경험에서는 활발하게 관리되지 않는 오픈 온라인 프로젝트(소프트웨어와 학습 자료를 포함)는 빠르게 부식한다는 확고한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또한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프로젝트는 고쳐야 할 많은 버그와 문제를 항상 찾게 됩니다. 이 관리된다는 말에는 다른 사람들이 당신의 온라인 프로젝트를 _향상_하는데 실제로 도움을 주고 싶어서 GitHub에 리뷰 받아 머지되거나 거절되야 할 풀 리퀘스트를 제출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또는 (정말 성공적이라면) 어떤 회사에서 프로젝트에 참여해 그들의 코드를 넣고 싶어할지도 모르겠지만 그런 회사도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관리되려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이 관심에는 멋진 과학적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제멋대로 자란 생태계, 실제 메인테이너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대적으로 작은 커뮤니티도 포함됩니다. 이 모든 것이 하나로 섞이면 과학계에서 마주하는 오픈소스 지속 가능성 문제로 이어집니다. 영웅적인 노력 없이는 이 모든 프로젝트를 유지할 수 있는 인력이 없습니다. 과학계에서의 소프트웨어 유지라는 명확한 커리어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오픈소스 유지보수를 위해 더 많은 사람을 찾는 일은 도덕적이지도, 지속 가능하지도 않다는 점이 명확합니다.

최근에 동료와 다른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대해 브레인스토밍을 한 적이 있습니다. (뒤에 더 설명합니다.) 이 과정에서 이 문제를 공유자원 문제라는 틀 안에서 생각해보려고 했습니다. 프로젝트의 성공이란 지속가능성 문제와 맡닿아 있으며 공유 자원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그 지속가능성에 대해 판단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하고 이 틀을 찾기로 했습니다.

공유 자원, 공유지의 비극, 지속가능성을 위한 디자인 원리

제가 알고 있는 공유자원 프레임워크는 Elinor Ostrom의 책, 공유지의 비극을 넘어 (원제: Governing the Commons)에서 왔습니다. 이 책에서는 아주 일반적인 공유자원 문제를 설명하고 공동체가 이런 문제를 어떤 방식으로 해결했는지 논의하고 있습니다.

개괄적으로, 60, 70년대 Elinor Ostrom과 동료는 “공유지의 비극”이라는 유명한 개념을 설명했습니다. 공유지의 비극은 공유자원이 이기적인 이유로 과도하게 이용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 문제는 피할 수 있습니다. 꼭 정부의 규제나 기업화만 이런 문제를 관리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실제로 공동체 대다수는 공유자원을 지역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을 통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Ostrom과 다른 사람의 사례 연구에서 Ostrom은 공유 자원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8가지 “디자인 원칙”을 추출했습니다.

Nadia의 블로그 포스트에서 잘 설명하고 있고, 또한 읽기 좋게 정리되어 있는 위키피디아에 있는 8가지 디자인 원칙 링크를 남겨둡니다.

Ostrom은 이 연구에 대한 업적으로 2009년 노벨상을 수상했습니다.

오픈 온라인 프로젝트로 돌아가기

저와 동료들은 이 프레임워크를 디지털 자원인 오픈 온라인 프로젝트에 어떤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을까 고민했습니다. 디지털 자원은 물리적 자원과 달리 소비할 수 없고 누가 프로젝트의 소스 코드를 소비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대화 속에서 답을 찾았고 그 답은 노력(effort)이었습니다. 오픈 온라인 프로젝트의 공유 자원은 노력입니다.

기여자가 프로젝트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려면 무슨 일을 하게 되나요? 노력을 들입니다. 기여자가 버그를 보고할 때는? 역시 노력을 들입니다. 좋은 버그 리포트를 남길 때는? 노력을 들입니다. 문서를 작성할 때는? 기능을 테스트할 때는? 새 기능을 추천할 때는? 모든 과정에서 노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보다 더 깊은 주제가 있습니다. 새로운 기여자를 프로젝트로 끌어들이면 노력의 크기를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금전적 지원을 줄 새 투자자와 만나게 될 때, 프로젝트에 얼마나 많은 헌신적 노력이 있는가에 따라 그 지원의 규모가 증가하기도 합니다.

물론 전에 썼던 것과 같이 모든 기여가 노력으로 가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기여는 그 기여가 주는 가치보다 프로젝트에 더 많은 _비용 부담_을 주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새로운 기능 제안, 나쁜 버그 리포트가 있습니다. 기여가 없는 커다란 기능 추가는 단순히 리뷰하고 거절하는 일에서도 핵심 프로젝트 메인테이너에게 엄청난 비용적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런 일은 유지보수 필요성이 낮은 일인데 유지보수가 프로젝트의 노력을 죄다 끌어가야만 하는 상황으로 뒤바뀔 수도 있습니다.

Fernando Perez가 #GCCBOSC에서 비슷한 점을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바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 사람을 채용해가는 방식에 대한 지적입니다. 많은 회사가 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 사람을 채용합니다. 단순히 생각해봐도 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 이들을 교육하는데 들인 노력은 안중에 없이 발굴해가는 것은 문제입니다.

공유 자원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8가지 디자인 원칙을 보고 “노력”을 공유 자원으로 정의한다면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다음처럼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누가 기여자인지 명확하게 정의합니다.
  2. 오픈 온라인 프로젝트에서의 노력은 프로젝트의 필요에 따라 지역적으로 적용됩니다.
  3. 오픈 소스 프로젝트는 기여하는 사람이 디자인 결정에 참여한다는 규칙을 따릅니다.
  4. 크게 기여하는 사람을 공식적으로 프로젝트에 참여하도록 해서 결정에 더 큰 역할을 맡을 수 있도록 합니다.
  5. 커뮤니티의 규칙을 위반한 기여자는 제재할 수 있는 범위를 둡니다.
  6. 충돌 대부분은 법률적으로 해결하기보다 프로젝트 내부적으로 해결합니다.
  7. 충돌 대부분은 가벼운 방법과 논의로 다룹니다.
  8. 오픈소스 기여자 대부분은 여러 프로젝트에 기여합니다. 예를 들면 Python 생태계에서는 같은 사람이 많은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Python 생태계를 큰 규모의 공유 자원으로 여기고 많은 지역적 공유 자원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핵심 CPython 개발”, “수치 연산/numpy 라이브러리” 등의 지역적 공유 자원이 존재합니다.

제 생각에는 많은 종류의 열린 공동체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항목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이게 무슨 의미일까요?

저와 동료가 이런 방식으로 생각하기 시작한 후로 이 관점에서 오픈소스 프로젝트와 온라인 공동체 자료를 보기 시작했습니다. 이 틀은 오픈소스의 지속 가능성을 생각하는데 아주 간단하고 좋은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습니다. “얼마나 열리면 지나치게 열린 것인가” 포스트는 정확히 이 생각에서 온 글입니다. 또한 당신의 프로젝트에 사람들이 더 모집되는 것을 긍적적으로 봐야하는지 설명합니다. 프로젝트에 노력을 쓸 수 있는 양이 늘어난다면 프로젝트 필요에 더 많은 노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참여를 늘린다는 점에서 행동 강령과 기여자 가이드라인이 더 중요해집니다. 장기적으로 참여할 사람을 찾고 노력할 사람을 유지하는게 가능하게 됩니다.

이 관점 자체로는 어떤 문제도 해결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원칙은 정말 좋은 사례 연구와 함께 묶여 있으며 공유 자원에 대한 연구로 어떻게 공동체 자원을 지속 가능하게 관리하는지 심도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좀 더 세부적으로 다루자면 일반적인 오픈 온라인 프로젝트를 한다는 맥락에서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먼저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사용할 노력이 잠식되지 않도록 지켜내야 합니다. 프로젝트가 성공하려면 기여 잠재력이 가용 노력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평가해야 합니다. 이런 평가가 기술적 기여에는 이미 포함되어 있겠지만 (“기술적인 빚”이란 관점에서), 버그 리포트와 기술 제안에서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물론 프로젝트 대다수는 이런 점을 이미 고려하고 있습니다.)

둘째, 지속적으로 유지보수 할 필요가 있는 부분(코드, 문서, 설치 등)에 들어가는 비용도 노력이 들어가는 부분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새 기능을 기여하면서 이런 유지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간과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세심히 살펴야 합니다. 새 기여자가 계속 도움을 주려고 하나요? 유지보수하기 위한 노력을 들여 헌신하려고 하나요? 그렇지 않다면 이런 유지보수에 노력을 더하게 되는 기여는 파트너십 등을 통해서 미뤄야 합니다.

셋째로, 새 기여자를 교육하고 육성하는 방식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가용 노력을 늘린다는 점을 염두해야 합니다. 하지만 기여자의 심리는 까다롭고 교육하고 육성한다고 해서 계속 이 프로젝트에 남아 있으리라는 예측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Python 코어 멘토 프로그램처럼 어떤 프로젝트는 뛰어난 인큐베이터를 갖고 있습니다. 이런 곳은 자신들의 노력을 새로운 기여자를 찾는 일에 사용하는데 관심있는 사람들이 운영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친근한 환경을 만들고 기여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갖는 기대감이 어떤 방향인지 잘 알려줄 수 있다면 새로운 기여자에게 도움이 될거라고 봅니다. 우리 유지보수 노력에 기여하고 싶은 사람에게 어떻게 하면 새로운 기능도 추가하고 버그도 개선할 수 있는지 기쁘게 알려줄 수 있다는 그런 마음가짐 말이죠. 장기적으로 보면 건강한 공동체가 즉, 건강한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넷째로, 모든 또는 대다수의 자원 제공자가 의사 결정에 참여하도록 허용하는 흥미로운 구조의 영향을 받습니다. 이 부분은 좀 더 세세하게 살펴봐야 하긴 합니다. 하지만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프로젝트에서 어느 정도 수준의 투자와 기여가 어떤 실효적 수준에서 정책이나 원칙 수립 단계의 보상을 받게 되는지 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섯째로, 자금 제공자의 기대치를 설정하고 투자를 얻는 과정에서 프로젝트의 성숙도를 측정하는 기준을 정의하는 일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제 경험에 따르면 대부분의 자금 제공자는 _프로젝트 지속 가능성_를 도식화 하는 일을 가장 우선시 합니다. 위에서 얘기한 디자인 원칙(그리고 공유 자원에서 나온 사례 연구)을 프로젝트 성숙도의 기반으로 삼는다면 지속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게 됩니다. 프로젝트의 자금 지원 제안을 작성한다고 가정하면 어느 디자인 원칙과 연계된 부분을 향상하려고 하며 어떻게 지속 가능 프레임워크와 연결되는지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금 당장 새로운 기여자가 참여하는데 있어 우리 역량을 걱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로부터 큰 규모의 기여를 하겠다는 제안을 받고 있습니다. 저희는 프로젝트 관리 방식을 구축하고 기여자를 위한 안내를 향상해 새 기여자와 투자자에게 어떤 수준의 투자와 기여를 기대하고 있는지 명확하게 설명하려고 합니다.” 식으로 설명한다면 자금 제공자는 이런 설명에 만족할겁니다.

“노력”이라는 공유 자원 프레임워크가 오픈소스 프로젝트와 오픈 온라인 프로젝트에 일반적으로 정말 잘 맞나요?

좋은 질문입니다. 저는 공유 자원에 대해 해박하지 않고 앞으로도 읽어야 할 것이 정말 많습니다. 공유 자원 프레임워크와 부합하지 않는 부분도 보여서 좀 더 다듬어야 하는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동작하는 방식과 잘 맞아 떨어진다는 게 제 직감입니다. 공유 자원과 같은 개념적인 틀은 제 관점을 다시 생각하게 하고 더 나은 그림에 맞춰볼 수 있게 하며 문제를 해결하는데 다른 결론에 닿게 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예제는 앞서 언급했던 “얼마나 열리면 지나치게 열린 것인가” 포스트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가 정말로 시도하고 싶은 일은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사례 연구에 참여하여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실제 삶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연구하며 이 프레임워크에 부합하는지, 혹은 부합하지 않는지 확인하는 일입니다. 몇 년 내로 안식년을 가지게 되는데 그 기회가 될지 모르겠습니다.

이 프레임워크에서 가장 좋아하는 점 하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 자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서 큰 가치로 여겼던, 흐릿해진 목표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입니다. “우리는 행복한 대가족이고 모든 부분이 함께 동작합니다!” 라는 구호는 메인테이너의 삶이 열린 기여에 의해 망가지는 상황을 마주하면서 희미해졌습니다.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오늘날 세계를 구성하는 커다란 부분을 실제로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성을 포함한 어떤 관점에서도 공식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운영했던 과거의 접근 방식으로는 더 이상 지속할 수 없다고 한 Fernado Perez의 이야기와 맥락이 닿습니다. 우리는 지속 가능한 오픈 프로젝트를 목표로 더 책임감을 갖고 더 현실적이고 냉철한 프레임워크를 만든다면 돈이 있는 투자자(그 도구를 사용하는 기술 회사나 학계 공동체)가 지속 가능성을 만드는 일을 도울 수 있을 겁니다. 이런 지속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고민하는 것은 (예를 들어) 구글이 해야 할 일이 아니라 우리가 고민해서 그들에게 어떻게 우리를 도와야 하는지 이야기하고 그들이 우리와 함께 할 때 일을 해쳐나가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일입니다. 그러나 지금 당장 중요한 프로젝트 대부분은 이런 접근이 어렵습니다. 그리고 어떤 경우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하지만 공유 자원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접근법이 될 수 있습니다. 함께 생각해봅시다!

개인적으로 제가 참여했던 여러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 어떤 노력을 했는지 다시 살펴보게 되어 흥미로웠습니다. 그 노력 중 하나도 지속적이지도, 지속되지도 않았습니다. 🙂 또한 그렇게 참여했던 프로젝트에서 Ostrom의 디자인 원칙에 맞지 않은 부분도 볼 수 있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다른 포스트에서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타이투스

특별히 Cameron Neylon과 Michael Nielsen에게 감사합니다. 이들은 Elinor Ostrom의 업적을 몇년 전에 알려줬습니다. Nadia Eghbal의 설명에도 감사를 전합니다. 주제에 대한 설명이 이 글의 재료가 되었고 앞으로도 같이 고민하며 전진했으면 합니다.

이 글을 쓰며 많은 이름을 언급했는데 Luiz Irber, Katy Huff, Katie Mack, Cory Doctorow, Jake VanderPlas, Tracy Teal, Fernando Perez, Michael Crusoe와 Matthew Turk에게 감사를 전합니다. #scifoo18과 #gccbosc에서도 같은 주제로 대화를 할 수 있었기에 SciFoo와 BOSC에도 감사합니다.

색상을 바꿔요

눈에 편한 색상을 골라보세요 :)

Darkreader 플러그인으로 선택한 색상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