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의 Quick start 페이지를 따라하면서 노트한 내용이다. js의 컨텍스트에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은 적지 않았다. 코드 스니핏도 간단히 알아볼 수 있게만 적어놔서 전체 내용이나 설명이 궁금하다면 본문을 확인하는게 좋겠다.
연습 환경 설치
node를 쓴지 오래되어서 업데이트부터 했다. nvm
이 있어야 한다.
$ nvm ls-remote
$ nvm install v9.3.0 && nvm alias default v9.3.0
$ nvm use default
$ npm install -g yarn
npx
를 이용해서 playground라는 이름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npx
는 npm 5.2.0+부터 사용할 수 있다.
$ npx create-react-app playground
$ cd playground
$ yarn start
JSX
리액트는 마크업과 로직을 인위적으로 분리하지 않고 대신에 컴포넌트라는 단위를 만들어 약하게 결합하도록 만들었다. JSX를 꼭 사용할 필요는 없지만 시각적으로 더 편리하다.
리액트 엘리먼트는 ReactDOM.render()
로 렌더링한다. root DOM 노드를 지정하면 그 내부의 모든 노드를 리액트가 관리한다.
const element = <h1>Hello, world</h1>;
ReactDOM.render(element, document.getElementById('root'));
function formatName(user) { /* ... * /}
const element = (
<h1>
Hello, {formatName(user)}!
</h1>
);
// 함수형 컴포넌트
function HelloBlock() {
return <div>Hello</div>;
}
// 클래스 컴포넌트
class GoodbyeBlock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return <div>Good bye</div>;
}
}
노드 트리를 직접 조회하지 않고 ReactDOM을 통해 비교한 후, 변경된 사항만 반영하기 때문에 DOM을 직접 읽고 조작하는 방식보다 간결하다.
props
컴포넌트는 자바스크립트 함수와 같아서 인자 입력(props)을 받고 리액트 엘리먼트를 반환한다.
const Greeting = (props) => <h1>Hello, {props.name}!</h1>;
function Greeting(props) {
return (
<h1>Hello, {props.name}!</h1>
);
}
class Greeting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
return <h1>Hello, {this.props.name}!</h1>
}
}
props는 엘리먼트의 어트리뷰트로 전달한다. expression은 {}
로, 문자열은 ""
로 보낸다.
const element = <Comment user={user} text="string value blarblar" />;
모든 리액트 컴포넌트는 props를 변경하지 않는 순수 함수처럼 동작해야 한다. 이 규칙을 깨지 않고 출력값을 변경하기 위해 state라는 개념이 있다.
State
State는 props과 비슷하지만 private이고 컴포넌트가 전적으로 제어한다. state는 클래스로 작성한 컴포넌트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 State를 제어하기 위해 componentDidMount()
와 componentWillUnmount()
와 같은 생애주기 훅(hook)을 사용한다. State에 대한 지정은 setState()
메소드를 사용한다.
this.state = {}
형태는 오직 constructor()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그 외에는 setState()
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렌더링에 반영되지 않는다.
한번 갱신하는데 setState()
호출을 여러 차례 한다면 경쟁 상태가 될 수 있다. 대신 함수 형태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this.setState((prevState, props) => ({
conter: prevState.counter + props.increment
}));
setState
로 전달한 개체는 this.state
에 병합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전달하지 않은 프로퍼티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state는 컴포넌트에 속했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어떻게 정의되어 있는지 알 수 없고 알 필요도 없다. 지역적, 캡슐화되어 있다고 이야기하는 이유.
컴포넌트가 stateful, stateless인지는 때마다 다르게 정의해서 사용할 수 있음.
이벤트 제어
return <a href="#" onClick={handleClick}>Click Me</a>;
(이제는 시멘틱웹 얘기 부질 없는 것입니까. 나 너무 오래된 사람인듯.)
handleClick
에 e.preventDefault()
를 명시적으로 사용해야 함. (return false
넣는거 싫어하는 사람이라서 이런 방식 좋음.) 이 e는 W3C 스펙에서의 그 SyntheticEvent인데 리액트에 맞게 랩핑되어 있다.
이벤트에 넘겨줄 때는 js 특성 상 컨텍스트를 명시적으로 지정해야 한다. 즉, this
바인딩을 잊지 말아야 한다.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 ...
this.handleClick = this.handleClick.bind(this);
}
인자를 전달할 때는,
<button onClick={this.deleteRow.bind(this, id)}>Delete This</button>
// 이러면 클릭했을 때 `deleteRow(id, e)`로 호출해준다.
이 귀찮음을 피하기 위한 대안 두 가지로 public class fields 문법을 사용하는 방식과 익명 함수를 사용해 스코프를 전달하는 방식을 제안하는데 전자는 아직 확정된 문법이 아니다. 후자는 그나마 깔끔하지만 렌더링 될 때마다 새 콜백이 생성된다. 대부분 괜찮지만 하위 컴포넌트로 전달되었을 때 불필요한 추가 랜더링이 계속 나타나서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1. public class fields syntax (experimental)
class Button extends React.Component {
handleClick = () => {
console.log('this is', this);
}
// ...
}
// 2. arrow funtion as callback
class Button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
return <button onClick={(e) => this.handleClick(e)}>Click me</button>;
}
}
조건부 렌더링
if
사용하면 된다! 인라인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 expression && <p>Elements</p> }
식으로 사용한다. if-else
는 삼항연산자를 사용한다.
null
을 반환하면 화면에 렌더링하지 않는다. 예시로 에러 메시지 표시 나왔다. 렌더링 안해도 생애주기 훅은 여전히 호출된다.
리스트와 키
const faces = ['?', '?', '?', '?', '?', '?', '?', '?'];
const listItems = faces.map((face, index) => (
<li key={index}>
{face}
</li>
));
// 안정적인 id를 key로 사용하고 없으면 최후의 수단으로
// 배열 자체의 인덱스를 사용한다. 여기는 예시니까 그냥
// 인덱스를 사용했다.
const FaceList = () => <ul>{listItems}</ul>;
// or inline format
const FaceList = () => (
<ul>
{faces.map((face, index) => (
<li key={index}>
{face}
</li>
))}
</ul>
)
변화를 감지하고 반영하기 위해서는 id가 필요한데 key로 지정된 값을 활용한다. 또한 같은 계층에는 키가 유일해야 한다.
키는 리스트에서만 사용하고 각 항목 컴포넌트 정의에서 지정하지 않는다. 위에서 보면 li
역할하는 컴포넌트를 정의할 때 key
를 지정하는게 아니라 listItems
처럼 배열을 책임지는 컴포넌트에서 key를 지정해야 한다.
key는 prop처럼 작성하지만 실제로 해당 컴포넌트에 전달되진 않는다. 전달하려면 다른 이름의 prop을 명시적으로 지정해야 한다.
폼 Form
그냥 html 쓰듯 작성해도 문제 없다! 하지만 js가 있어야 미려한 기능을 만들 수 있는건 당연하고. 이럴 때는 controlled 컴포넌트를 만들어서 해결한다.
<input>
같은 엘리먼트는 상태를 스스로 관리한다. 리액트는 가변값을 state에 저장하고 setState()
를 사용한다. 이 두가지를 하나로 합쳐 State를 “single source of truth”로 사용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여기에 반영하는 식으로 만든다. 폼 엘리먼트를 리액트에서 관리하니까 controlled 컴포넌트라고 한다.
// bind 생략
handleChange(event) {
this.setState({
address: event.target.value
});
// 여러 input을 처리할 때는 computed property name 문법으로
this.setState({
[event.target.name]: event.target.value
});
}
// ...
render() {
return <input name="address" type="text" value={this.state.value} onChange={this.handleChange} />
}
input[type="file"]
은 읽기 전용인데 이런 경우는 uncontrolled 컴포넌트라고 한다.
value
에 직접 값을 전달하면 사용자가 값을 변경할 수 없다. 값을 전달한 이후에 다시 값을 변경할 수 있게 하려면 undefined
나 null
을 다시 전달해야 한다.
state 위로 보내기 lifting state up
prop에 state를 조작할 수 있는 함수를 만들어서 전달하면 자식 노드에서도 부모 노드의 state를 간접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 방법을 “lifting state up” 라고 말한다.
아래는 NameInput
에서 변경된 내용을 WelcomeBoard
에서 전달받은 onNameChange
를 사용해 갱신하는 방식이다.
class NameInput extends React.Component {
handleChange(e) {
this.props.onNameChange(e.target.value);
}
render() {
return (
<input type="text"
value={this.props.name}
onChange={this.handleChange.bind(this)} />
)
}
}
class WelcomeBoard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name: 'stranger'};
}
handleNameChange(name) {
this.setState({
name: name === '' ? 'stranger' : name,
});
}
render() {
return (
<div>
<p>Hello, {this.state.name}!</p>
<NameInput
name={this.state.name}
onNameChange={this.handleNameChange.bind(this)} />
</div>
)
}
}
구성 vs 상속
자식 노드로 어떤 것이 오게 될지 미리 알 수 없다. 그래서 특별한 prop으로 children
이 존재한다.
function Box() {
return <div>{props.children}</div>;
}
이제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알아서 내부 노드로 처리한다.
<Box>
<NameInput />
<NameInput />
<NameInput />
</Box>
Containment의 예시로 SplitPane를 작성했다.
Specialization의 예시로 Dialog를 작성했다.
상속을 사용하는 경우는 적절한 유즈케이스가 없다고 한다. UI와 관련되지 않은 로직을 공유해야 할 경우라도 상속보다는 별도의 JS 모듈로 작성해서 import
하는 방식을 권장한다.
리액트 식으로 생각하기
리액트를 사용할 때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설명한다.
- Mock에서 시작. 프로토타이핑과 mock 데이터를 갖고 시작한다.
- UI를 나눠 컴포넌트 계층을 만든다.
- 단일 책임 원칙
- 데이터 구조에 맞게
- React에서 정적인 페이지로 작성한다.
- state를 사용하지 않음
- 데이터는 단방향으로
- UI state의 Representation을 모든 경우를 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최소한으로 파악한다.
- state가 어디에 위치해야 하는지 파악한다.
- owner 컴포넌트, 또는 상위 컴포넌트
- 적당한 컴포넌트가 없다면 빈 컴포넌트라도 만들어서
- 데이터 흐름이 반대가 되야 하는 경우를 파악한다.
- lifting state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