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프로젝트에서 Express를 오랜 기간 사용했었는데 hapi 가 좋다는 얘기를 듣고는 hapi를 많이 사용해왔다. Hapi도 단순하긴 하지만 “설정만 넣으면 되는” 단순함이라서 설정에 들어가는 수고가 꽤 컸다. 최근에는 토이 프로젝트에서 API를 작성하는데 에러 발생 여부에 따라서 {"ok": true}
하나 넣어주는 작업에 오만가지 코드를 작성해야 했다. express와 다르게 미들웨어에서 request, response에 접근할 수 있는 포인트가 워낙에 많아 더 복잡하게 느껴졌다. 그러던 중 예전에 잠시 비교글로 봤던 koa를 살펴봤는데 지금 필요한 상황에 맞는 것 같아 koa로 다시 코드를 작성했고 마음에 드는 구석이 많아서 간단한 소개를 작성한다.
Koa는 ES2015의 문법 중 하나인 제너레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웹 프레임워크다. 모든 요청과 처리를 제너레이터를 활용해 파이프라인을 만드는 것이 특징이며 그 덕분에 깔끔한 async 코드를 손쉽게 작성할 수 있다. Express 만큼은 아니더라도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고 있고, express의 라이브러리나 미들웨어도 thenify나 co로 변환해서 활용할 수 있을 만큼 확장성이 높다.
이 포스트는 제너레이터를 먼저 살펴보고, 제너레이터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co를 살펴본 후, KoaJS를 간단하게 살펴보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제너레이터 Generator
다른 언어에도 이미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크게 특별한 기능은 아니지만 ES6에서의 구현을 간단히 정리하려고 한다.
일반적인 함수의 경우, 매 실행마다 같은 흐름으로 모든 코드를 실행하지만 Generator 함수는 실행 중간에서 값을 반환할 수 있고, 다른 작업을 처리한 후에 다시 그 위치에서 코드를 시작할 수 있다. 이 제너레이터는 반복 함수 iterator를 next()
로 제공하고 결과를 value
로, 진행 상황을 done
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구단을 제너레이터로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function* nTimesTable(n) {
for(var i = 1; i <= 9; i++) yield n * i;
}
제너레이터는 위와 같이 function* fnName(){}
식으로 *을 넣어 선언한다. 익명 함수의 경우도 function*(){}
식으로 선언한다.
이제 이터레이터(iterator)를 nineTimesTable
에 반환 받는다.
var nineTimesTable = nTimesTable(9);
이터레이터는 next()
를 통해 실행할 수 있다. 이 함수로 중단한 위치의 결과가 반환된다.
var result = nineTimesTable.next();
console.log(result); // { value: 9, done: false }
result = nineTimesTable.next();
console.log(result); // { value: 18, done: false }
result = nineTimesTable.next();
console.log(result); // { value: 27, done: false }
// keep calling...
result = nineTimesTable.next();
console.log(result); // { value: 72, done: false }
result = nineTimesTable.next();
console.log(result); // { value: 81, done: false }
result = nineTimesTable.next();
console.log(result); // { value: undefined, done: true }
매 반복 실행에서 value
를 반환하지만 동시에 done
으로 해당 함수가 yield
결과 없이 종료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에 별도의 return 값이 없기 때문에 value
가 undefined
가 된다.
이런 이터레이터의 반환 특징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iterator를 호출하는 함수를 작성할 수 있다.
function caller(iter) {
var result, value;
while(result = iter.next()) {
if(result.done) break;
value = result.value || value;
}
return value;
}
var result = caller(nTimesTable(3));
console.log(result); // 27
done
이 true
를 반환할 때까지 해당 이터레이터를 실행해 결과값을 가져오는 caller
를 작성했다. 만약 매 반복에서 특정 함수를 실행하고 싶다면 다음처럼 작성할 수 있다. 앞서 작성한 nTimesTable
함수가 더 많은 내용을 반환하도록 수정했다.
function * nTimesTable(n) {
for(var i = 1; i <= 9; i++) yield { n: n, i: i, result: n * i };
}
function caller(iter, func) {
var result, value;
while(result = iter.next()) {
if(result.done) break;
value = result.value || value;
if(func) func(value);
}
return value;
}
caller(nTimesTable(3), value => {
console.log('%d x %d = %d', value.n, value.i, value.result);
});
앞서 작성한 caller
는 제너레이터 내의 yield에 대해서는 처리를 하지 못한다. 제너레이터에서 이터레이터를 반환하고 진행을 중단했을 때 해당 이터레이터를 처리해서 다시 반환해야 한다. 결과를 넣고 다시 진행할 수 있도록 작성해야 하는 것이다.
function* getAnimalInCage() {
yield "Wombat";
yield "Koala";
return "Kangaroo";
}
function* Cage() {
var cageAnimals = getAnimalInCage();
var first = yield cageAnimals;
var second = yield cageAnimals;
var third = yield cageAnimals;
console.log(first, second, third);
}
이 Cage
제너레이터를 실행하면 yield
를 3번 사용했기 때문에 최종 console.log
가 출력하는 결과를 보기까지 4번에 걸쳐 실행된다.
var cage = Cage();
var firstStop = cage.next();
// {value: iterator, done: false}
첫 번째 yield
결과가 firstStop
에 저장되었다. cageAnimals는 위에서 코드에서와 같이 getAnimalInCage
제너레이터가 생성한 이터레이터다. 이 이터레이터에 next()
메소드로 값을 받은 후, 그 값을 다시 first
변수에 다음과 같이 반환한다.
var firstAnimal = firstStop.value.next();
// firstAnimal: {value: "Wombat", done: false}
var secondStop = cage.next(firstAnimal.value);
next
의 인자값으로 첫 결과인 Wombat을 넣었다. 이전에 멈췄던 위치인 첫 번째 yield로 돌아가 함수 내 first
에는 Wombat이 저장된다. 나머지도 동일하게 진행된다.
var secondAnimal = secondStop.value.next();
// secondAnimal: { value: 'Koala', done: false }
var thirdStop = cage.next(secondAnimal.value);
var thirdAnimal = thirdStop.value.next();
// thirdAnimal: { value: 'Kangaroo', done: true }
var lastStop = cage.next(thirdAnimal.value);
// Wombat Koala Kangaroo
마지막 Kangaroo는 yield가 아닌 return이기 때문에 done이 true
를 반환한다. 앞서 직접 호출해서 확인한 코드는 반환하는 값이나 호출하는 형태가 일정한 것을 볼 수 있다. 즉 재사용 가능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는 의미다.
다음은 catchEscapedAnimal()
과 getTodaysZookeeper()
함수를 이용한 Zoo
제너레이터 예시다.
function catchEscapedAnimal() {
return function(done) {
setTimeout(function() {
done(null, {name: 'Kuma', type: 'Bear'});
}, 1000);
};
}
function* getTodaysZookeeper() {
yield {status: 'loading'};
return {status: 'loaded', name: 'Edward'};
}
function* Zoo() {
var animal = yield catchEscapedAnimal();
var zookeeper = yield getTodaysZookeeper();
console.log('%s catches by %s', animal.name, zookeeper.name);
}
catchEscapedAnimal()
은 ajax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해서 setTimeout
을 이용해 콜백을 호출하는 형태로 작성되었다. getTodaysZookeeper()
는 일반적인 제너레이터 함수로 첫 호출에는 loading을, 두번째 호출에서 최종 값을 전송한다. Zoo
도 앞에서 본 Cage
처럼, 중간에 yield를 사용한다. 이 함수를 처리하기 위한 compose
함수는 다음과 같다.
function compose(iter, value, next) {
var result = iter.next(value);
if(result.done) return next ? next(value) : value;
else if(typeof result.value == 'function') {
return result.value(function(err, data) {
if(err) throw err;
compose(iter, data);
});
} else if(typeof result.value.next == 'function') {
var _iter = iter;
next = function(result){
compose(_iter, result);
};
iter = result.value;
result = iter.next();
}
return compose(iter, result.value, next);
}
이 compose
함수는 다음과 같은 경우의 수를 다룬다.
yield
된 값이 함수일 때, 호출 체인을 연결할 수 있도록 next
함수를 넘겨줌 (기존 callback 방식)
yield
된 값이 이터레이터일 때, 이터레이터가 done을 반환할 때까지 호출한 후 최종 값을 반환
- 그 외의 결과를 반환할 때, 해당 값을 이터레이터에 넣고 다시
compose
를 호출
- 이터레이터가 종료(
done == true
)되었을 때, next
함수가 있다면 해당 함수로 호출을 진행하고 없으면 최종 값을 반환하고 종료
이 함수를 이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etTimeout()
에 의해 중간 지연이 진행되는 부분도 확인할 수 있다.
compose(Zoo());
// Kuma catches by Edward
제너레이터를 코루틴으로, co
나름 잘 동작하지만 흐름을 보기 위해서 만든 함수라서 허술한 부분이 많다. 이런 부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co다. co는 제너레이터를 코루틴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라이브러리로 앞서 작성했던 compose
함수와 같은 역할을 한다.
var co = require('co');
co(Zoo());
// Kuma catches by Edward
이 라이브러리는 내부적으로 Promise 패턴을 사용하고 있어서 callback이든 Promise든 제너레이터든 모두 잘 처리한다. 실제로 제너레이터를 사용하고 싶다면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Koa
Koa는 앞서 이야기한 co 라이브러리를 기본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HTTP 미들웨어 라이브러리로 경량에 간단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너레이터를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앞서 배운 내용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코드를 작성하기에 앞서 간단하게 koa를 설치한다.
$ npm install --save koa
Hello World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var koa = require('koa');
var app = koa();
app.use(function* () {
this.body = {"message": "Hello World"};
});
app.listen(3000);
이제 http://localhost:3000에 접속하면 해당 json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작성한 코드도 포함해보자.
var koa = require('koa');
var app = koa();
function catchEscapedAnimal() {
return function(done) {
setTimeout(function() {
done(null, {name: 'Kuma', type: 'Bear'});
}, 50);
};
}
function* getTodaysZookeeper() {
yield {status: 'loading'};
return {status: 'loaded', name: 'Edward'};
}
function* Zoo() {
var animal = yield catchEscapedAnimal();
var zookeeper = yield getTodaysZookeeper();
this.body = { message: animal.name + ' catches by ' + zookeeper.name };
}
app.use(Zoo);
app.listen(3000);
Koa의 모든 추가 기능은 미들웨어 구조로 제너레이터를 통해 작성하게 된다. callback은 물론 Promise 패턴도 더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요청과 응답은 모두 this
에 주입되서 전달되고 흐름은 첫 인자에 next
를 추가해 제어할 수 있다. 요청에 대한 응답 내용이 있으면 ok
를 추가해보자.
app.use(function* (next) {
yield next;
if(this.body) {
this.body.ok = true;
} else {
this.body = { ok : false };
}
});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토큰 검증도 가능하다.
app.use(function* (next) {
var requestToken = this.request.get("Authorization");
var accessToken = yield AccessTokensModel.findAccessTokenAsync(token);
if(accessToken) {
yield next;
} else {
this.body = { error: 'invalid_token' };
}
});
세부적인 내용은 koa 웹페이지에서 다루고 있다. 단순하고 간편한 기능을 원한다면 꼭 살펴보자. 실제 사용하게 될 때는 koa-bodyparser, koa-router와 같은 패키지를 같이 사용하게 된다. 패키지 목록은 koa 위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너레이터도 충분히 편한 기능이지만 koa는 현재 await/async 문법을 지원하기 위한 다음 버전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더 가독성도 높고 다른 언어에서 이미 구현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문법이라 더 기대된다.
더 읽을 거리